맨위로가기

독일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하여 고대,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까지 이어진다. 선사 시대에는 호모 헤이델베르겐시스가 발견되며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음이 확인되었고, 신석기 혁명 이후 계급 사회가 형성되었다. 기원전 700년경 철기 문명이 유입되며 켈트족, 게르만족 등 다양한 민족이 등장했고, 로마 제국과의 접촉과 전쟁이 이어졌다.

중세 시대에는 프랑크 왕국이 성립하고, 신성 로마 제국이 등장하여 카노사의 굴욕, 서임권 분쟁, 십자군 전쟁 등을 겪었다. 15세기에는 도시의 성장과 한자 동맹의 발달이 이루어졌고, 17세기부터 절대주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 초에는 매뉴팩처 자본주의가 형성되고, 종교 개혁으로 사회가 변화했다. 30년 전쟁 이후 프로이센이 강대국으로 부상했고, 1815년 빈 회의를 통해 독일 연방이 결성되었다.

1848년 프랑크푸르트 국민 의회의 실패 이후, 프로이센의 비스마르크는 철혈 정책을 통해 오스트리아를 격파하고 북독일 연방을 성립시켰다.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하며 독일 제국이 수립되었고, 제국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경제 대공황과 나치당의 집권으로 막을 내리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분단되어 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었고,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1990년 재통일을 통해 독일 연방 공화국으로 재탄생했다. 통일 이후 다양한 사회 문제를 겪었지만, 유럽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역사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독일의 역사 - 프로이센
    프로이센은 중세 시대 발트족에서 유래하여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공국, 왕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 강국으로 성장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배로 해체되었다.
  • 독일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독일 - 프로이센
    프로이센은 중세 시대 발트족에서 유래하여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공국, 왕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 강국으로 성장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배로 해체되었다.
  • 독일의 역사 - 프로이센
    프로이센은 중세 시대 발트족에서 유래하여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공국, 왕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 강국으로 성장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배로 해체되었다.
  • 독일의 역사 -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원래 번제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량 학살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으며, 나치의 아리아인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700만 명이 넘는 유대인과 기타 소수 민족이 조직적인 학살과 잔혹한 생체 실험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독일의 역사
지도 정보
독일의 역사
독일의 국장
역사 시대독일 제국 (1871–1918)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바이마르 공화국 (1918–1933)
나치 독일 (1933–1945)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연합국 군정기 (1945–1949/1952)
동부 영토 (1945–1949/1952)
독일인 추방 (1944–1950)
서독동독 분단 (1949–1990)
재통일 (1990)
신연방주 (1990)
현대 역사 (1990 이후)

2. 선사 시대와 고대

1907년 호모 헤이델베르겐시스가 발견되었는데, 이로써 독일 지역에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존재했었다는 설이 입증되었다. 중석기 시대에 그들은 사냥을 하기 시작했다. 또한 그들은 조개를 채집하기도 했으며, Sippe 씨족집단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신석기 혁명의 여파는 독일 지역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었으며, 라이프찌히에서 신석기 유물이 발견됨으로써 입증되었다. 이때부터 씨족 중심의 원시 사회는 서서히 붕괴하기 시작했고, 귀족 집단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700년경 소아시아로부터 이 들어왔고, 이 때부터 본격적인 계급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농업과 목축업이 분업되었다. 소아시아로부터 들어온 철기문명은 우선 무기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켰고, 농업생산력을 발전시켰는데, 이 때부터 전쟁으로 생긴 노예가 그 노동을 담당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 노예가 로마 제국처럼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게르만 부족들의 민회를 새긴 부조


구석기 시대에는 네안데르탈인, 후에 크로마뇽인(Y염색체 하플로그룹 I2a)이 거주했다.[402]

신석기 시대에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G2a에 의해 농업이 전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403][404]

청동기 시대가 되면 비커 문화 등이 일어났고,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게르만 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도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현재 독일인의 다수를 차지하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b에 속했다.[405]

독일의 역사에서 고대는 선사시대부터 게르만족 대이동이 시작될 때까지의 장기간에 걸쳐 있다. 현재 독일 남부에서는 기원전 1300년경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켈트족과 일리리아족의 초기 철기 문화인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1300년~기원전 400년)가 번영했고, 후에 서부에서는 지중해 지역의 문화적 영향을 더 강하게 받은 켈트족의 라 테네 문화(기원전 500년~기원전 200년)로 발전했다. 라 테네 문화와 같은 시기에 독일 북부 지역에는 철기 문화인 야스트르프 문화가 형성되었고, 기원전 5세기경부터 게르만어파가 발생했다. 한편 동쪽에서는 일리리아족과 (더 동쪽의 체르노레스 문화의) 원슬라브족의 혼합에 의해 초기 철기 문화인 포메라니아 문화가 발생했고, 이것은 나중에 더 슬라브적인 프셰보르스크 문화로 발전했다. 그러나 기원전 3세기경부터 게르만어파 사람들은 그 영역을 조금씩 확장하기 시작하여, 북쪽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남부, 동쪽은 발트해 남안의 포메라니아 지방의 좁은 지역을 따라 비스와 강 하구 지역에 도달했다. 서쪽이나 남쪽에서는 기원전후경에는 라인 강·도나우 강 유역에서 고대 로마 세계와 접촉하게 되었다. 로마 제국과 게르마니아의 전투로는 킴브리·테우토니 전쟁(기원전 113년~기원전 101년), 갈리아 전쟁(기원전 58년~기원전 51년), 테우토부르크 숲 전투(9년), 마르코만니 전쟁(162년~180년)이 알려져 있다.

그 후, 한동안 라인 강과 도나우 강이 로마 제국과 게르마니아의 경계선이 되었다. 357년, 크노드마르 왕이 이끄는 알레만니족이 로마 제국 영토 갈리아의 아르겐토라툼(현 스트라스부르)에 침공했지만 격퇴되었다(아르겐토라툼 전투).

4세기 후반에 게르만족 대이동이 시작되면서, 게르만어파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게르만족”이라고 총칭된 여러 부족(대중어가 게르만어파인 부족 외에, 부르군드족과 같이 대중어가 켈트어파로 여겨지는 부족, 반달족과 같이 대중어가 슬라브어파로 여겨지는 부족의 세 종류가 있었다)이 남유럽에서 각각의 부족 국가를 건설했다.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이 갈리아에 침공했다(카탈라우눔 전투). 피해를 입어 세력이 약해진 서로마 제국은 프랑크족(게르만족의 부족)의 침입을 허용하게 되었다.

2. 1. 선사 시대

1907년 하이델베르크인의 하악골이 발견되면서,[2] 적어도 60만 년 전부터 독일 지역에 초기 인류가 존재했음이 확인되었다.[1] 구석기 시대에는 네안데르탈인이, 후에는 크로마뇽인(Y염색체 하플로그룹 I2a)이 거주했다.[402] 이들은 중석기 시대에 수렵과 채집을 하며 씨족 집단을 구성했다. 니더작센주 쇠닝겐의 석탄 광산에서는 38만 년 전의 나무 창이 발굴되기도 했다.[4][5]

신석기 혁명의 영향으로 농업이 전래되었고,[403][404] 라이프치히에서 신석기 유물이 발견되었다. 독일 중부는 (기원전 약 5500년~4500년)의 주요 지역 중 하나였으며, 고제크 원형 유적과 같은 신석기 시대 원형 울타리가 건설되었다.

기원전 700년경 소아시아로부터 이 전래되어 본격적인 계급이 형성되고, 농업과 목축업이 분업화되었다. 청동기 시대가 되면서 비커 문화 등이 일어났고,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게르만 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현재 독일인의 다수를 차지하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b에 속했다.[405] 후기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화장장 문화()는 중앙 유럽에서 종형컵 문화, 우네티체 문화 및 분묘 문화를 대체했고,[17] 북유럽 청동기 시대는 스칸디나비아와 독일 북부에서 발전했다.

할슈타트 문화는 우르넨펠트 문화에서 발전한 것으로, 기원전 12세기부터 8세기까지 그리고 초기 철기 시대(기원전 8세기~6세기) 동안 서유럽과 중앙 유럽을 지배하는 문화였다. 이후 라 테네 문화(기원전 5세기~1세기)가 뒤를 이었다. 중부 및 남부 독일에서 이러한 문화적 특징을 채택한 사람들은 켈트족으로 간주된다. 기원전 700년경부터 게르만 민족(게르만 부족)은 남 스칸디나비아와 북부 독일에서 남쪽으로 확장하여 중앙 유럽에서 켈트족을 점차 대체했다.[25][26][27][28][29][30]

뢰벤멘쉬(사자 인간)상, 오리냐크 문화, 기원전 약 4만 1천년


선문토기 문화 유적지와 장방형 가옥 및 원형 울타리가 있는 드레스덴, 기원전 약 4700년
[15]

쉬퍼슈타트 금관, 화장장 문화, 기원전 약 1400년
[24]

2. 2. 게르만족 사회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경에 게르만족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혈통적이라기보다는 경제·사회·문화적 발전에 따른 복속과 통합 과정으로 인해 생겼다.[37] 게르만족은 처음 부족연맹체로써 등장했다. 바이에른족, 알레마니족, 프랑켄족, 튀링겐족, 프리젠족, 작센족 등 같은 부족에 속한 사람들은 관습·종교·문화·법적 전통을 갖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고, 혈족명으로 다른 부족과 구별하였다. 초기 게르만족에 대해서는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에 일부 기록이 남아 있다.[411]

게르만족은 숲 속에서 살았는데 토지는 공유제였다. 경작시 공동체구성원에게 평등하게 분할되었다.[411] 공동체에서 중요한 일은 민회에서 결정하였다.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 따르면, 북동부의 게르만족은 민회 대신에 "제사장-왕"의 지위가 있었다. 고대 게르만 사회에서 중요한 계층은 농민 전사층이었다.

[[File:Germanic tribes (750BC-1AD).png|오른쪽|섬네일|250px|

초기 게르만 부족들의 확장.[31]]]

2. 3. 로마 제국과의 관계

로마 제국과 게르만족의 관계는 기원전 1세기경부터 시작되었다.[38]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 중에 카이사르의 라인강 다리를 건설하고 게르만족 영토로 진입했으나, 며칠 후 게르만군과 접촉하지 못하고 강 서쪽으로 돌아왔다.[38] 기원전 58년 보주 전투에서 수에비 부족을 물리치고 아리오비스투스라인강 너머로 후퇴시켰다.[39][40]

초대 로마 황제아우구스투스는 라인 강과 다뉴브 강 너머의 정복을 외교 정책 및 게르만족 침입에 대한 대응으로 간주했다. 우비이족과 같은 일부 부족들은 로마와 동맹을 맺고 발전된 로마 문화를 받아들였다. 로마 군단은 여러 부족을 정복하기 위해 게르마니아 마그나로 원정을 수행했으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아르미니우스가 이끄는 게르만 부족 연합군에게 대패했다.[39][40] 그 결과, 로마는 라인 강과 다뉴브 강을 경계로 삼고 추가적인 영토 진출을 삼가기로 결정했다.[39]

갈리아 벨기카 로마 속주(province)의 수도인 트리어의 포르타 니그라, 170년에 건설됨


게르마니쿠스 리메스가 확고하게 확립되면서, 여러 게르만 부족들이 로마 통치하에 살았다.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수도는 현대 쾰른인 콜로니아 클라우디아 아라 아그리핀넨시움)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수도는 현대 마인츠인 모곤티아쿰) 속주가 설립되었고, 기독교가 전파되었다.[38]

일부 게르만족은 로마군에 입대하기도 했으며, 로마 제국 말기에는 부족 전체가 로마군으로 복무하는 경우도 있었다. 3세기가 되자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여러 부족들이 로마의 국경인 ''리메스''와 다뉴브 강 국경 너머로 이주하기 시작했다.[39]

3. 중세

서로마 제국이 붕괴되고 그 후 프랑크 왕국이 성립되면서 독일 서부 지역은 점차 중세 봉건 사회로 이행해 갔다. 독일 동부 지역에서는 프라하 문화가 번영한 오보트리트족 등 슬라브어파의 강력한 여러 부족이 세력을 확장하여 독일 중부의 엘베 강에 도달하자 그 서안까지 영토를 넓혔고, 이후 중세 초기부터 프랑크 왕국과 정면으로 대치하게 된다.

;프랑크 왕국

498년 클로비스 1세가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프랑크족 귀족들은 봉건 귀족으로 전환되었다. 6세기에는 프랑크족에 의한 봉건 국가가 구성되었으며,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교황의 지지를 얻었다. 이는 갈리아 원주민들의 지지와 협력을 얻는 데 기여하여, 다른 게르만족 국가들과 달리 프랑크 왕국이 오래 지속되고 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되었다.

751년 피핀 3세가 교황의 지원으로 프랑크 왕위에 올랐고, 피핀의 기증으로 교황령의 기원을 마련했다. 그의 아들 카롤루스 대제(샤를마뉴)는 도나우 강변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오스트마르크를 설치했고, 이는 오스트리아의 기원이 되었다. 카롤루스 대제는 서로마 제국 영토 대부분을 획득했고, 교황 레오 3세로부터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다. 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벗어나려는 로마 교황의 시도였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3개로 나뉜 프랑크 왕국.


카롤루스는 성문법 제정, 문법 정리 등 중앙집권화를 추구했으나, 실제로는 국가 연맹적 성격이 강했다.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은 3등분되었으며, 동프랑크 왕국이 현재 독일의 기원이 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의 성립

919년 작센의 하인리히 1세가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넓은 토지와 많은 가신을 보유하고 헝가리와 전쟁을 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928~929년에는 슬라브(폴란드)를 공격했다.[49] 오토 1세는 마자르족을 물리치고 독일 국가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 교회 제도를 도입했다.[49] 주교와 수도원에 토지를 기증하고 성직자들에게 세속적인 관직을 수여하면서 왕의 보호를 약속하여, 왕권이 강화되었다.[49]

오토 대제


오토 1세는 962년 로마에서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칭호를 받았다.[53][54]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들은 독일 국내 문제보다 이탈리아 문제에 더 신경을 써 왕권 약화를 초래하였다.[49]

한편, 슬라브족의 땅을 점령하면 Markgraf라는 공작들을 점령지역(Mark라 호칭함)에 파견하여 다스리게 하였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훗날 프로이센)과 오스트마르크(훗날 오스트리아)가 설치되었다.

하인리히 1세


초기 신성 로마 제국의 게르만 종족 공국과 주요 국가 묘사


911년의 카롤링거 왕조 단절 후, 동프랑크 왕국(독일 왕국)은 선거왕제로 이행하여, 10세기 초에 작센 왕조가 성립하였다. 2대 오토 1세(대제)는 계속해서 침입하는 외족의 토벌에 활약하여, 특히 마자르족을 955년 레히펠트 전투에서 격퇴하였다. 그와 동시에 이탈리아 원정을 감행하여 교황위를 둘러싼 혼란을 수습하였다.

962년-1806년:자세한 내용은 “신성 로마 제국”을 참조하십시오.

962년, 로마 교황 요한 12세가 오토에게 로마 황제의 관을 씌웠다. 소위 "'''오토의 대관식'''"이며, 이로써 "신성 로마 제국"이 성립했다고 여겨진다(실제로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표현이 사료에 나타나는 것은 13세기 중반이다).

;카노사의 굴욕과 서임권 분쟁

1077년 카노사의 굴욕 사건은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오 7세 사이의 갈등이 폭발하며 발생했다. 교황은 주교 임명권을 주장했고, 황제는 독일 내 주교들에 대한 서임권을 행사하며 대립했다. 반(反)황제적인 독일 국내 귀족들이 교황과 결탁하자, 하인리히 4세는 결국 카노사 성에서 교황에게 굴복했다. 하지만 몇 년 후 하인리히 4세는 그레고리오 7세를 병사시켰다.

하인리히 4세가 카노사 성에서 용서를 구하는 모습.


서임권 분쟁은 황제와 귀족, 신정 정치 체제와 세속 군주정 간의 권력 쟁탈전이었다.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한 개혁 운동을 이끌던 교황들은 성직자 임명권(서임권)을 세속 군주가 갖고 있는 것에 대해 납득하지 못했다. 교황은 서임권을 자신이 행사하겠다고 나섰고, 세속 군주로서는 그것을 교황에게 돌려줄 수 없었다.

이러한 갈등은 1122년 보름스 협약으로 일시적인 화해가 이루어졌다. 이 분쟁의 결론과 함께 로마 교회와 교황은 모든 종교 문제에 대한 최고 권한을 되찾았다.[56][57] 결과적으로 황제 오토 왕조 교회 시스템 (''Reichskirche'')은 쇠퇴했다.[58] 또한 황제 세속 군주에 맞서 선택된 강력한 성직 지도자를 임명하는 왕실/황실 전통도 끝났다.[58]

;십자군 전쟁과 경제 발전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선동으로 십자군 전쟁이 일어났다. 프리드리히 1세도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였다. 독일 기사들은 십자군 원정을 통해 동방 문물을 접하며 새로운 문화 주체로 등장했고, 이는 독일 민족 의식 형성에 기여했다.

함부르크뤼베크 간의 한자동맹 창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60~70여 개에 불과했던 교역 장소는 11세기 초 라인 강과 엘베 강 근처에 200~300여 개로 늘어났고, 도시들이 생겨났다. 왕과 귀족 간의 갈등 속에서 도시는 제3의 세력으로 중요해졌고, 이들은 도시 공동체 코뮨(commune)을 형성하였다. 도시는 봉건적 종속에서 벗어나 시민적 도시 공동체를 형성해 나갔다.

뤼베크(Lübeck)


한자 동맹의 주요 무역로


한자 동맹은 중세 후기(12세기~15세기) 북유럽과 중앙 유럽 도시 상인 길드들의 상업 및 방어 동맹으로, 발트 해, 북해 및 연결된 수운이 가능한 강들을 따라 해상 무역을 지배했다.[62] 가맹 도시들은 자유제국도시를 제외하고는 제한적인 정치적 자치만을 누렸다. 뤼베크(Lübeck)와 함부르크(Hamburg) 간의 협정으로 시작하여, 길드들은 무역로 확보 및 세금 특권과 같은 경제적 자산을 강화하고 결합하여 가격을 통제하고 지역 상품을 더 잘 보호하고 판매하기 위해 협력했다.[62] 라인강(Rhine)에 위치한 제국 내 중요 상업 중심지인 쾰른(Cologne)과 북해(North Sea)에 위치한 브레멘(Bremen)이 동맹에 가입함으로써 더 큰 외교적 위상을 얻게 되었다.

7인의 선제후에 의해 황제가 선출되면서 황제는 점차 권력을 잃어갔다. 14세기 룩셈부르크 왕가의 과도한 대외 전쟁으로 황제권은 더욱 약화되었고, 15세기에는 연방 국가가 형성되었다. 1413년 브란덴부르크의 호엔촐레른 왕가가 지역 통합을 시작했고, 1442년 베를린과 쾰른을 장악했다. 1437년 합스부르크 왕가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를 세습하게 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 선제후들
왼쪽부터 오른쪽: 쾰른 대주교, 마인츠 대주교, 트리어 대주교, 라인궁후 백작, 작센 공작,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보헤미아 왕 (''Codex Balduini Trevirorum'', )

3. 1. 프랑크 왕국

498년 클로비스 1세가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프랑크족 귀족들은 봉건 귀족으로 전환되었다. 6세기에는 프랑크족에 의한 봉건 국가가 구성되었으며,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교황의 지지를 얻었다. 이는 갈리아 원주민들의 지지와 협력을 얻는 데 기여하여, 다른 게르만족 국가들과 달리 프랑크 왕국이 오래 지속되고 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되었다.

751년 피핀 3세가 교황의 지원으로 프랑크 왕위에 올랐고, 피핀의 기증으로 교황령의 기원을 마련했다. 그의 아들 카롤루스 대제(샤를마뉴)는 도나우 강변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오스트마르크를 설치했고, 이는 오스트리아의 기원이 되었다. 카롤루스 대제는 서로마 제국 영토 대부분을 획득했고, 교황 레오 3세로부터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다. 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벗어나려는 로마 교황의 시도였다.

카롤루스는 성문법 제정, 문법 정리 등 중앙집권화를 추구했으나, 실제로는 국가 연맹적 성격이 강했다.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은 3등분되었으며, 동프랑크 왕국이 현재 독일의 기원이 되었다.

3. 2. 신성 로마 제국의 성립

919년 작센의 하인리히 1세가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넓은 토지와 많은 가신을 보유하고 헝가리와 전쟁을 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928~929년에는 슬라브(폴란드)를 공격했다.[49] 오토 1세는 마자르족을 물리치고 독일 국가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 교회 제도를 도입했다.[49] 주교와 수도원에 토지를 기증하고 성직자들에게 세속적인 관직을 수여하면서 왕의 보호를 약속하여, 왕권이 강화되었다.[49]

오토 1세는 962년 로마에서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칭호를 받았다.[53][54]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들은 독일 국내 문제보다 이탈리아 문제에 더 신경을 써 왕권 약화를 초래하였다.[49]

한편, 슬라브족의 땅을 점령하면 Markgraf라는 공작들을 점령지역(Mark라 호칭함)에 파견하여 다스리게 하였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훗날 프로이센)과 오스트마르크(훗날 오스트리아)가 설치되었다.

911년의 카롤링거 왕조 단절 후, 동프랑크 왕국(독일 왕국)은 선거왕제로 이행하여, 10세기 초에 작센 왕조가 성립하였다. 2대 오토 1세(대제)는 계속해서 침입하는 외족의 토벌에 활약하여, 특히 마자르족을 955년 레히펠트 전투에서 격퇴하였다. 그와 동시에 이탈리아 원정을 감행하여 교황위를 둘러싼 혼란을 수습하였다.

962년-1806년:자세한 내용은 “신성 로마 제국”을 참조하십시오.

962년, 로마 교황 요한 12세가 오토에게 로마 황제의 관을 씌웠다. 소위 "'''오토의 대관식'''"이며, 이로써 "신성 로마 제국"이 성립했다고 여겨진다(실제로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표현이 사료에 나타나는 것은 13세기 중반이다).

3. 3. 카노사의 굴욕과 서임권 분쟁

1077년 카노사의 굴욕 사건은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오 7세 사이의 갈등이 폭발하며 발생했다. 교황은 주교 임명권을 주장했고, 황제는 독일 내 주교들에 대한 서임권을 행사하며 대립했다. 반(反)황제적인 독일 국내 귀족들이 교황과 결탁하자, 하인리히 4세는 결국 카노사 성에서 교황에게 굴복했다. 하지만 몇 년 후 하인리히 4세는 그레고리오 7세를 병사시켰다.

서임권 분쟁은 황제와 귀족, 신정 정치 체제와 세속 군주정 간의 권력 쟁탈전이었다.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한 개혁 운동을 이끌던 교황들은 성직자 임명권(서임권)을 세속 군주가 갖고 있는 것에 대해 납득하지 못했다. 교황은 서임권을 자신이 행사하겠다고 나섰고, 세속 군주로서는 그것을 교황에게 돌려줄 수 없었다.

이러한 갈등은 1122년 보름스 협약으로 일시적인 화해가 이루어졌다. 이 분쟁의 결론과 함께 로마 교회와 교황은 모든 종교 문제에 대한 최고 권한을 되찾았다.[56][57] 결과적으로 황제 오토 왕조 교회 시스템 (''Reichskirche'')은 쇠퇴했다.[58] 또한 황제 세속 군주에 맞서 선택된 강력한 성직 지도자를 임명하는 왕실/황실 전통도 끝났다.[58]

3. 4. 십자군 전쟁과 경제 발전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선동으로 십자군 전쟁이 일어났다. 프리드리히 1세도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였다. 독일 기사들은 십자군 원정을 통해 동방 문물을 접하며 새로운 문화 주체로 등장했고, 이는 독일 민족 의식 형성에 기여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60~70여 개에 불과했던 교역 장소는 11세기 초 라인 강과 엘베 강 근처에 200~300여 개로 늘어났고, 도시들이 생겨났다. 왕과 귀족 간의 갈등 속에서 도시는 제3의 세력으로 중요해졌고, 이들은 도시 공동체 코뮨(commune)을 형성하였다. 도시는 봉건적 종속에서 벗어나 시민적 도시 공동체를 형성해 나갔다.

한자 동맹은 중세 후기(12세기~15세기) 북유럽과 중앙 유럽 도시 상인 길드들의 상업 및 방어 동맹으로, 발트 해, 북해 및 연결된 수운이 가능한 강들을 따라 해상 무역을 지배했다.[62] 가맹 도시들은 자유제국도시를 제외하고는 제한적인 정치적 자치만을 누렸다. 뤼베크(Lübeck)와 함부르크(Hamburg) 간의 협정으로 시작하여, 길드들은 무역로 확보 및 세금 특권과 같은 경제적 자산을 강화하고 결합하여 가격을 통제하고 지역 상품을 더 잘 보호하고 판매하기 위해 협력했다.[62] 라인강(Rhine)에 위치한 제국 내 중요 상업 중심지인 쾰른(Cologne)과 북해(North Sea)에 위치한 브레멘(Bremen)이 동맹에 가입함으로써 더 큰 외교적 위상을 얻게 되었다.

7인의 선제후에 의해 황제가 선출되면서 황제는 점차 권력을 잃어갔다. 14세기 룩셈부르크 왕가의 과도한 대외 전쟁으로 황제권은 더욱 약화되었고, 15세기에는 연방 국가가 형성되었다. 1413년 브란덴부르크의 호엔촐레른 왕가가 지역 통합을 시작했고, 1442년 베를린과 쾰른을 장악했다. 1437년 합스부르크 왕가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위를 세습하게 되었다.

4. 근대

17세기부터 유럽 대륙 전반에 걸쳐 절대 왕정, 상비군 제도, 관료제, 중상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절대주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독일의 절대주의는 봉건 국가의 최고이자 최후의 형태로서 발달하였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소규모 상품 생산 체제가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제조업 자본주의가 발달하여 분산된 제조업이 등장하였다.

18세기 초 합스부르크 왕가와 부르봉 왕가의 갈등이 본격화하면서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 등 숱한 전쟁을 치르게 되는데, 이 전쟁의 결과는 합스부르크의 영향력 확장이었다. 이때 오스트리아는 중앙 관료 체제가 성립되었고,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다. 오스트리아의 예술과 문화도 발달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선제후를 중심으로 호엔촐레른 왕가가 브란덴부르크-마크를 중심으로 서서히 발달한다. 이 나라가 바로 훗날 군국주의의 대명사로 19세기 독일사를 주도해나간 프로이센 왕국이다.

15세기와 16세기 초 독일은 전환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는 프랑스 혁명까지 이어지는 매뉴팩처(manufacture) 자본주의가 형성되던 시기로, 선대제가 주요 산업 형태로 나타났다. 상인들은 수공업자에게 원료와 자금을 제공하고, 생산된 물품을 받는 방식으로 생산에 관여했다. 광산 개발, 제련, 제철, 섬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 계층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농업에서도 화폐 경제로의 이행이 뚜렷해졌고, 부유한 농민층이 등장했다. 반면 토지에 얽매여 있던 기사와 하급 귀족들은 몰락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근대적 관료로 전환했다. 독일 내 성직자 수의 증가는 로마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종교 개혁의 배경이 되었다.

16세기에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권력이 결혼과 외교를 통해 확장되어 보헤미아, 헝가리, 독일, 스페인 등이 합스부르크에 편입되었다. 남부 독일의 아우크스부르크, 뉘른베르크와 같은 도시에서는 상업 엘리트 가문들이 막대한 재정적 수단을 축적하여 제국의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98][99][100][101]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으로 대표되는 북방 르네상스는 초기 부르주아 혁명의 단초를 제공했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인쇄기 발명과 탁시스 가문이 관리한 최초의 근대 우편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혁명을 가져왔고, 이는 종교 개혁과 과학 혁명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3][104]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 북부 르네상스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


막시밀리안 1세는 황제 개혁을 통해 제국을 개혁하려 했다. 최고 법원 설치, 국회의 역할 강화, 영구적 토지 평화 선포, 제국군 조직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다.[116][117][118][119] 그의 군사 개혁은 란츠크네히트 발전을 가져왔고, 이는 기사 계급을 무너뜨리는 군사 혁명으로 이어졌다.[105][106]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의 명예의 아치('Arch of Honour') 세부, 1515년 제작, 1517~1518년 인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5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까지,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 콘라트 켈테스,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등장했다.[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 16세기 초 지도 제작은 뉘른베르크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요하네스 케플러는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만들어 과학적 방법을 확립하는데 기여했다.[156]

마르틴 루터


95개조 반박문




종교 개혁은 16·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기독교 내의 개혁 운동이다. 로마와 아비뇽의 대립은 14세기경부터 교회의 추락을 불러왔으며, 피사·콘스탄츠·바젤 등지에서 공의회가 열렸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러한 교회의 부패에 불만을 가진 마르틴 루터와 그의 지지자들이 본격적인 종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르네상스가 예술과 문화 측면에 국한 되었으나, 종교 개혁은 대중에게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종교 개혁은 근대 시민 국가의 형성 과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1517년, 비텐베르크 대학교 신학부 교수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교회의 면죄부 판매에 대해 95개조 논제를 발표하여 비판했다. 교황 레오 10세는 성 베드로 대성전 건축을 위해 푸거가에 엄청난 돈을 빌렸고, 카를 5세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입후보를 위해 역시 푸거가로부터 돈을 빌렸으나, 돈은 곧 떨어졌고 모자랐다. 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해낸 것이 면벌부 판매였다. 특히 면벌부는 독일에 집중적으로 팔렸는데, 성직자가 많았다는 것 외에도 이를 제어할 중앙권력이 없었다는 점도 주요한 요인이었다. 중앙 집권이 확립되어 가던 영국이나 프랑스에는 팔지 못했다.

루터는 바르트부르크 성의 한 방에서 신약성서를 번역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로마 교황이나 가톨릭 교회 자체에 대한 비판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루터의 행동은 큰 공감을 얻어 독일 내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사태 진정을 위해 가톨릭 측은 논객 요한 에크를 라이프치히로 보내 1519년 루터와 논쟁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루터는 더 나아가 교황과 가톨릭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

루터는 인간은 내면적인 신앙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중세초기의 순수 기독교 사상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1518년에 루터는 소환되었고, 1519년에는 에크라는 신학자와 토론하게 된다. 그때까지만 해도 루터는 로마와 결별할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지만, 이 토론에서 패배함으로써 자신이 꿈꾸는 '순수한 기독교' 사회건설을 위해서는 로마와 결별해야 한다고 결심하게 된다.

마르틴 루터가 카를 5세 황제와 보름스 의회에서 대립하는 모습, 안톤 폰 베르너의 그림


한편 당시 합스부르크 가문은 혼인 정책을 통해 유럽에 광대한 영토를 소유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세습화하여 가톨릭 이념 아래 일원적인 유럽 지배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루터의 행동은 일원적인 제국 지배를 흔드는 큰 장애물이 되었다. 1521년 루터는 봄스 제국회의에서 자신의 주장 철회를 요구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제국 추방형을 받았다. 이때 반합스부르크, 반교황적 입장을 취한 유력 제후 작센 공 프리드리히가 루터를 숨겨주었기에, 루터는 그의 영토 내에 있는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신약 성서의 독일어 번역에 착수하게 되었다.

레오 10세는 1521년에 루터를 파문하게 된다. 그러나, 작센공 프리드리히가 마틴 루터를 숨겨준다. 루터는 이때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다. 이 번역은 역사상 최초의 모국어성서로서 독일어의 문법 확립에도 큰 기여를 했다. 대중이 성서와 문자를 인식하게 되면서, 독일의 민족주의 형성에 이바지하게 된다. 이미 루터 이전부터 성서의 독일어 번역이 시도되었지만, 그의 번역 성서가 정본이 되어 당시 발달하던 인쇄 기술의 도움을 받아 각지에 유통되었다. 이는 중세 가톨릭 세계의 권위적 언어였던 라틴어를 대체하고 각국의 언어로 성서가 번역되는 흐름을 가속화하여, 문화적 일원성이 해체되고 각국의 "국어"가 형성되는 시발점이 되었다. 근대적 자본주의 이행에 나타나는 사상의 단초는 이때부터 형성된다. 루터의 사상은 신앙에 의한 의인화(sola fide), 신앙에 의한 구원으로 집약되며, "성서는 모든 대중이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반대중이 성직자라는 중개자를 통해서 신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날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근대적 개인주의 사상이 자라기 시작했다.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은 읽고 쓰기 능력과 새로운 인쇄술의 승리였다.[133][135][136] 1517년부터 종교 팸플릿이 독일과 유럽 대부분 지역에 넘쳐났으며, 1530년까지 10,000개가 넘는 개별 작품이 총 1천만 부가 출판되면서 미디어 혁명을 일으켰다.[137]

이 무렵부터 독일에는 3가지 집단이 등장하는데, 크게 지배층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 가톨릭 세력과 프로테스탄트가 그것이다. 1522년에는 루터에 자극받은 이들 기사단이 슈말칼덴 동맹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토마스 뮌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혁명적 집단도 존재하였다. 이들은 1524년에 농민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알자스와 슈바벤에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프랑코니아, 튀링겐, 오스트리아로 확산된 독일 농민 전쟁은 여러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와 재세례파의 수사학에 고무된 농촌 하층민의 일련의 경제적, 종교적 반란이었다.[126] 괴츠 폰 베를리힝엔과 플로리안 가이어 (프랑코니아), 그리고 신학자 토마스 뮌체르 (튀링겐)와 같은 전쟁 경험이 있는 귀족들의 도움을 가끔 받았지만, 농민군은 군사적 구조, 기술, 병참 및 장비가 부족했고, 결국 10만 명에 달하는 반란군이 영주들에 의해 패배하고 학살당했다.[126]

루터의 개혁은 북중부독일과 스칸디나비아 반도 지역에만 국한되게 되었다. 농민 전쟁 발 발시점을 계기로 농민과 루터와의 관계는 벌어졌으며, 루터는 정치화한다. 영방교회제 확립을 위해 루터를 지배층들이 끌어들였고, 루터는 이들 세력과 결합하였다. 1529년 이미 에라스무스(Erasmus)와 결별했던 루터는 츠빙글리파와도 결별한다. 루터는 슈말칼덴 전쟁 직전인 1546년에 죽었다.

1545년 트렌트 공의회에서 시작된 가톨릭 반종교개혁은 불과 5년 전 이냐시오 데 로욜라 주변의 여러 성직자들에 의해 설립된 학문적인 종교 단체인 예수회가 주도했다.[127] 그 목적은 변증적 및 논쟁적인 글과 교령, 교회 재편성, 전쟁, 제국의 정치적 책략을 통해 종교 개혁에 도전하고 억제하는 것이었다. 1547년 카를 5세 황제는 프로테스탄트 통치자들의 군사 동맹인 슈말칼덴 동맹을 물리쳤다.[127]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평화 조약은 루터파 신앙과 제국의 종교적 분열을 인정했다.[127] 또한 통치자의 영지 내에서 공식적인 종교를 결정할 수 있는 통치자의 권리 (''Cuius regio, eius religio'')를 규정했다. 반종교개혁은 결국 중부와 북부 독일 루터파 국가들을 재통합하는 데 실패했다.[127] 1608/1609년에 프로테스탄트 연맹과 가톨릭 연맹이 결성되었다.

그러나 엘베강 동부 지역은 종교 개혁에도 불구하고 봉건적 계급 사회가 계속 유지되었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이후에도 독일의 종교적 분열은 계속되었고, 반동권력에 의해 상황은 어려워지기만 하였다.

30년 전쟁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합스부르크 왕조 및 가톨릭 연합 세력과 초기 부르주아 및 다른 귀족들 간의 연합 세력 간의 대립이었다.[128] 전쟁은 보헤미아인들이 합스부르크에 저항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프랑스의 개입으로 확대되었다.[129] 이 전쟁으로 독일 전체는 피폐화되었고, 독일 인구의 1/3이 사망했다.[130]

30년 전쟁의 결과로 인한 신성 로마 제국 내 인구 감소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30년 전쟁은 종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스위스와 네덜란드의 독립이 확정되었으며, 프랑스는 알자스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포메라니아와 브레멘-베르덴은 신성 로마 제국의 봉토로 스웨덴에 주어졌다.[131] 프로이센 또한 영토를 확장하여 18세기 초 왕국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프랑스와 스웨덴은 독일 제국 의회에 선거권을 가지게 되어 독일 내정에 간섭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독일 지역에는 제후들이 분열하고 자유 도시와 소국들이 독립국으로서의 권위를 획득하였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의 유럽 모습. 붉은 라인이 신성 로마 제국의 영역이었고, 그 안에 보이는 작은 독일 국가들이 있다.


30년 전쟁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영방 국가 중 전쟁 피해가 적었던 프로이센은 프리드리히 2세 때 크게 성장했다.[170]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슐레지엔 지방을 차지하여 유럽 강대국으로 지위를 굳혔다.[170]
프리드리히 2세(프로이센)(Frederick II, the Great, of Prussia)는 1740년부터 1786년까지 재위하였다.
계몽사상에 심취한 프리드리히 2세는 농노 처우 개선, 고문 폐지 등 정책을 실시했지만, 농노제는 여전히 유지되었다.[171]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때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패배하여 영토의 반을 잃고 라인 연방이라는 꼭두각시 정부가 수립되었다.[191] 샤른호스트, 클라우제비츠, 슈타인, 하르덴베르크 등에 의한 근대화 개혁으로 농노 해방과 행정 기구 쇄신이 이루어졌다. 1815년 빈 회의에서 프로이센은 베스트팔렌 지역을 획득하고 독일 연방에 가맹하여 맹주인 오스트리아와 세력을 양분했다.[240]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와 신성 동맹을 체결한 프로이센은 자유주의적 독일 통일 운동을 억압하고 절대주의를 강화했다.

1818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관세 동맹이 결성되어 독일 연방 내 국가 간 무역에 부과되던 관세가 폐지되면서 독일 경제는 급성장했고, 이는 독일의 민족 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194] 1834년에는 프로이센과 다른 독일 국가들 사이에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관세 동맹이 설립되어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통일된 통화, 법 체계, 정부를 가진 통일된 독일 국가의 필요성이 더욱 분명해졌다.

2월 혁명의 영향으로 프랑크푸르트 국민 회의가 열려 자유주의적 평화 통일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실패하였다.[202] 3월 혁명이후 빈 체제에 의해 부과된 정치적, 사회적 질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어 1848년 독일 각지에서 혁명이 발발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 독일 국민의회(프랑크푸르트 의회)가 소집되어 통일 독일 헌법을 제정하려 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베를린에서 1848년 혁명을 환호하는 모습, 배경에는 베를린 궁전이 보인다.


프랑크푸르트 의회, 파울스키르헤, 프랑크푸르트 1848


프러시아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황제의 자리를 거부하고 프랑크푸르트 의회가 해산되면서, 1850년까지 독일 연방이 재건되었다. 많은 지도자들이 망명길에 올랐고, 그중 일부는 미국으로 건너가 정치적 세력으로 성장했다.

자유주의적 통일을 주장했던 프랑크푸르트 국민 회의가 실패한 이후, 독일의 정치적 통일은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862년 프로이센의 수상으로 임명된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의회와 자유주의 세력의 반대를 억누르고 철혈 정책을 추진했다.

1860년대 프로이센의 고위 정치 및 군사 전략가들인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알브레히트 그라프 폰 로온, 헬무트 폰 몰트케


비스마르크는 1866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격파하고 북독일 연방을 성립시켰다.[204] 1863년부터 1864년 사이에는 슐레스비히를 둘러싼 프로이센과 덴마크 간의 분쟁이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 이어졌다. 오스트리아와 연합한 프로이센은 덴마크를 패배시키고 유틀란트를 점령했으며, 덴마크는 슐레스비히 공국과 홀슈타인 공국을 할양해야 했다. 두 공국의 관리 문제는 보오전쟁의 구실이 되었고, 쾨니히그라츠 전투에서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871년 7월 14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프랑스는 외교적 고립과 전쟁 준비 부족으로 마르스라투르 전투와 그라블로트 전투에서 참패했다. 스당 전투에서 나폴레옹 3세가 포로가 되었고, 파리 시민들은 파리 코뮌을 세워 저항했으나 4개월 만에 항복했다. 프로이센군은 파리에서 시가행진을 벌였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은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알자스와 로렌 지방을 되찾고, 베르사유 궁전에서 빌헬름 1세를 황제로 즉위시켜 독일 제국 수립을 선포했다.

베르사유 궁전에서의 독일제국 선포식.

4. 1. 절대주의 시대

17세기부터 유럽 대륙 전반에 걸쳐 절대 왕정, 상비군 제도, 관료제, 중상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절대주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독일의 절대주의는 봉건 국가의 최고이자 최후의 형태로서 발달하였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소규모 상품 생산 체제가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제조업 자본주의가 발달하여 분산된 제조업이 등장하였다.

18세기 초 합스부르크 왕가와 부르봉 왕가의 갈등이 본격화하면서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 등 숱한 전쟁을 치르게 되는데, 이 전쟁의 결과는 합스부르크의 영향력 확장이었다. 이때 오스트리아는 중앙 관료 체제가 성립되었고,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다. 오스트리아의 예술과 문화도 발달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선제후를 중심으로 호엔촐레른 왕가가 브란덴부르크-마크를 중심으로 서서히 발달한다. 이 나라가 바로 훗날 군국주의의 대명사로 19세기 독일사를 주도해나간 프로이센 왕국이다.

4. 2. 16세기 초 독일의 전환기

15세기와 16세기 초 독일은 전환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는 프랑스 혁명까지 이어지는 매뉴팩처(manufacture) 자본주의가 형성되던 시기로, 선대제가 주요 산업 형태로 나타났다. 상인들은 수공업자에게 원료와 자금을 제공하고, 생산된 물품을 받는 방식으로 생산에 관여했다. 광산 개발, 제련, 제철, 섬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 계층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농업에서도 화폐 경제로의 이행이 뚜렷해졌고, 부유한 농민층이 등장했다. 반면 토지에 얽매여 있던 기사와 하급 귀족들은 몰락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근대적 관료로 전환했다. 독일 내 성직자 수의 증가는 로마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종교 개혁의 배경이 되었다.

16세기에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권력이 결혼과 외교를 통해 확장되어 보헤미아, 헝가리, 독일, 스페인 등이 합스부르크에 편입되었다. 남부 독일의 아우크스부르크, 뉘른베르크와 같은 도시에서는 상업 엘리트 가문들이 막대한 재정적 수단을 축적하여 제국의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98][99][100][101]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으로 대표되는 북방 르네상스는 초기 부르주아 혁명의 단초를 제공했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인쇄기 발명과 탁시스 가문이 관리한 최초의 근대 우편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혁명을 가져왔고, 이는 종교 개혁과 과학 혁명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3][104]

막시밀리안 1세는 황제 개혁을 통해 제국을 개혁하려 했다. 최고 법원 설치, 국회의 역할 강화, 영구적 토지 평화 선포, 제국군 조직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다.[116][117][118][119] 그의 군사 개혁은 란츠크네히트 발전을 가져왔고, 이는 기사 계급을 무너뜨리는 군사 혁명으로 이어졌다.[105][106]

15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까지,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 콘라트 켈테스,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등장했다.[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 16세기 초 지도 제작은 뉘른베르크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요하네스 케플러는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만들어 과학적 방법을 확립하는데 기여했다.[156]

4. 3. 종교 개혁



종교 개혁은 16·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기독교 내의 개혁 운동이다. 로마와 아비뇽의 대립은 14세기경부터 교회의 추락을 불러왔으며, 피사·콘스탄츠·바젤 등지에서 공의회가 열렸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러한 교회의 부패에 불만을 가진 마르틴 루터와 그의 지지자들이 본격적인 종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르네상스가 예술과 문화 측면에 국한 되었으나, 종교 개혁은 대중에게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종교 개혁은 근대 시민 국가의 형성 과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1517년, 비텐베르크 대학교 신학부 교수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교회의 면죄부 판매에 대해 95개조 논제를 발표하여 비판했다. 교황 레오 10세는 성 베드로 대성전 건축을 위해 푸거가에 엄청난 돈을 빌렸고, 카를 5세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입후보를 위해 역시 푸거가로부터 돈을 빌렸으나, 돈은 곧 떨어졌고 모자랐다. 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해낸 것이 면벌부 판매였다. 특히 면벌부는 독일에 집중적으로 팔렸는데, 성직자가 많았다는 것 외에도 이를 제어할 중앙권력이 없었다는 점도 주요한 요인이었다. 중앙 집권이 확립되어 가던 영국이나 프랑스에는 팔지 못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로마 교황이나 가톨릭 교회 자체에 대한 비판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루터의 행동은 큰 공감을 얻어 독일 내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사태 진정을 위해 가톨릭 측은 논객 요한 에크를 라이프치히로 보내 1519년 루터와 논쟁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루터는 더 나아가 교황과 가톨릭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

루터는 인간은 내면적인 신앙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중세초기의 순수 기독교 사상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1518년에 루터는 소환되었고, 1519년에는 에크라는 신학자와 토론하게 된다. 그때까지만 해도 루터는 로마와 결별할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지만, 이 토론에서 패배함으로써 자신이 꿈꾸는 '순수한 기독교' 사회건설을 위해서는 로마와 결별해야 한다고 결심하게 된다.

한편 당시 합스부르크 가문은 혼인 정책을 통해 유럽에 광대한 영토를 소유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세습화하여 가톨릭 이념 아래 일원적인 유럽 지배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루터의 행동은 일원적인 제국 지배를 흔드는 큰 장애물이 되었다. 1521년 루터는 봄스 제국회의에서 자신의 주장 철회를 요구받았지만, 이를 거부하고 제국 추방형을 받았다. 이때 반합스부르크, 반교황적 입장을 취한 유력 제후 작센 공 프리드리히가 루터를 숨겨주었기에, 루터는 그의 영토 내에 있는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신약 성서의 독일어 번역에 착수하게 되었다.

레오 10세는 1521년에 루터를 파문하게 된다. 그러나, 작센공 프리드리히가 마틴 루터를 숨겨준다. 루터는 이때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다. 이 번역은 역사상 최초의 모국어성서로서 독일어의 문법 확립에도 큰 기여를 했다. 대중이 성서와 문자를 인식하게 되면서, 독일의 민족주의 형성에 이바지하게 된다. 이미 루터 이전부터 성서의 독일어 번역이 시도되었지만, 그의 번역 성서가 정본이 되어 당시 발달하던 인쇄 기술의 도움을 받아 각지에 유통되었다. 이는 중세 가톨릭 세계의 권위적 언어였던 라틴어를 대체하고 각국의 언어로 성서가 번역되는 흐름을 가속화하여, 문화적 일원성이 해체되고 각국의 "국어"가 형성되는 시발점이 되었다. 근대적 자본주의 이행에 나타나는 사상의 단초는 이때부터 형성된다. 루터의 사상은 신앙에 의한 의인화(sola fide), 신앙에 의한 구원으로 집약되며, "성서는 모든 대중이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반대중이 성직자라는 중개자를 통해서 신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날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근대적 개인주의 사상이 자라기 시작했다.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은 읽고 쓰기 능력과 새로운 인쇄술의 승리였다.[133][135][136] 1517년부터 종교 팸플릿이 독일과 유럽 대부분 지역에 넘쳐났으며, 1530년까지 10,000개가 넘는 개별 작품이 총 1천만 부가 출판되면서 미디어 혁명을 일으켰다.[137]

이 무렵부터 독일에는 3가지 집단이 등장하는데, 크게 지배층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 가톨릭 세력과 프로테스탄트가 그것이다. 1522년에는 루터에 자극받은 이들 기사단이 슈말칼덴 동맹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토마스 뮌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혁명적 집단도 존재하였다. 이들은 1524년에 농민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알자스와 슈바벤에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프랑코니아, 튀링겐, 오스트리아로 확산된 독일 농민 전쟁은 여러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와 재세례파의 수사학에 고무된 농촌 하층민의 일련의 경제적, 종교적 반란이었다.[126] 괴츠 폰 베를리힝엔과 플로리안 가이어 (프랑코니아), 그리고 신학자 토마스 뮌체르 (튀링겐)와 같은 전쟁 경험이 있는 귀족들의 도움을 가끔 받았지만, 농민군은 군사적 구조, 기술, 병참 및 장비가 부족했고, 결국 10만 명에 달하는 반란군이 영주들에 의해 패배하고 학살당했다.[126]

루터의 개혁은 북중부독일과 스칸디나비아 반도 지역에만 국한되게 되었다. 농민 전쟁 발 발시점을 계기로 농민과 루터와의 관계는 벌어졌으며, 루터는 정치화한다. 영방교회제 확립을 위해 루터를 지배층들이 끌어들였고, 루터는 이들 세력과 결합하였다. 1529년 이미 에라스무스(Erasmus)와 결별했던 루터는 츠빙글리파와도 결별한다. 루터는 슈말칼덴 전쟁 직전인 1546년에 죽었다.

1545년 트렌트 공의회에서 시작된 가톨릭 반종교개혁은 불과 5년 전 이냐시오 데 로욜라 주변의 여러 성직자들에 의해 설립된 학문적인 종교 단체인 예수회가 주도했다.[127] 그 목적은 변증적 및 논쟁적인 글과 교령, 교회 재편성, 전쟁, 제국의 정치적 책략을 통해 종교 개혁에 도전하고 억제하는 것이었다. 1547년 카를 5세 황제는 프로테스탄트 통치자들의 군사 동맹인 슈말칼덴 동맹을 물리쳤다.[127]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평화 조약은 루터파 신앙과 제국의 종교적 분열을 인정했다.[127] 또한 통치자의 영지 내에서 공식적인 종교를 결정할 수 있는 통치자의 권리 (''Cuius regio, eius religio'')를 규정했다. 반종교개혁은 결국 중부와 북부 독일 루터파 국가들을 재통합하는 데 실패했다.[127] 1608/1609년에 프로테스탄트 연맹과 가톨릭 연맹이 결성되었다.

그러나 엘베강 동부 지역은 종교 개혁에도 불구하고 봉건적 계급 사회가 계속 유지되었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이후에도 독일의 종교적 분열은 계속되었고, 반동권력에 의해 상황은 어려워지기만 하였다.

4. 4. 30년 전쟁과 베스트팔렌 조약

30년 전쟁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합스부르크 왕조 및 가톨릭 연합 세력과 초기 부르주아 및 다른 귀족들 간의 연합 세력 간의 대립이었다.[128] 전쟁은 보헤미아인들이 합스부르크에 저항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프랑스의 개입으로 확대되었다.[129] 이 전쟁으로 독일 전체는 피폐화되었고, 독일 인구의 1/3이 사망했다.[130]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30년 전쟁은 종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스위스와 네덜란드의 독립이 확정되었으며, 프랑스는 알자스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포메라니아와 브레멘-베르덴은 신성 로마 제국의 봉토로 스웨덴에 주어졌다.[131] 프로이센 또한 영토를 확장하여 18세기 초 왕국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프랑스와 스웨덴은 독일 제국 의회에 선거권을 가지게 되어 독일 내정에 간섭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독일 지역에는 제후들이 분열하고 자유 도시와 소국들이 독립국으로서의 권위를 획득하였다.

4. 5. 프로이센 왕국

30년 전쟁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영방 국가 중 전쟁 피해가 적었던 프로이센은 프리드리히 2세 때 크게 성장했다.[170]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슐레지엔 지방을 차지하여 유럽 강대국으로 지위를 굳혔다.[170] 계몽사상에 심취한 프리드리히 2세는 농노 처우 개선, 고문 폐지 등 정책을 실시했지만, 농노제는 여전히 유지되었다.[171]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때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패배하여 영토의 반을 잃고 라인 연방이라는 꼭두각시 정부가 수립되었다.[191] 샤른호스트, 클라우제비츠, 슈타인, 하르덴베르크 등에 의한 근대화 개혁으로 농노 해방과 행정 기구 쇄신이 이루어졌다. 1815년 빈 회의에서 프로이센은 베스트팔렌 지역을 획득하고 독일 연방에 가맹하여 맹주인 오스트리아와 세력을 양분했다.[240]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와 신성 동맹을 체결한 프로이센은 자유주의적 독일 통일 운동을 억압하고 절대주의를 강화했다.

4. 6. 독일의 경제적 통합과 통일 전쟁

1818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관세 동맹이 결성되어 독일 연방 내 국가 간 무역에 부과되던 관세가 폐지되면서 독일 경제는 급성장했고, 이는 독일의 민족 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194] 1834년에는 프로이센과 다른 독일 국가들 사이에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관세 동맹이 설립되어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통일된 통화, 법 체계, 정부를 가진 통일된 독일 국가의 필요성이 더욱 분명해졌다.

2월 혁명의 영향으로 프랑크푸르트 국민 회의가 열려 자유주의적 평화 통일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실패하였다.[202] 3월 혁명이후 빈 체제에 의해 부과된 정치적, 사회적 질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어 1848년 독일 각지에서 혁명이 발발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 독일 국민의회(프랑크푸르트 의회)가 소집되어 통일 독일 헌법을 제정하려 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프러시아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황제의 자리를 거부하고 프랑크푸르트 의회가 해산되면서, 1850년까지 독일 연방이 재건되었다. 많은 지도자들이 망명길에 올랐고, 그중 일부는 미국으로 건너가 정치적 세력으로 성장했다.

자유주의적 통일을 주장했던 프랑크푸르트 국민 회의가 실패한 이후, 독일의 정치적 통일은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862년 프로이센의 수상으로 임명된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의회와 자유주의 세력의 반대를 억누르고 철혈 정책을 추진했다.

비스마르크는 1866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격파하고 북독일 연방을 성립시켰다.[204] 1863년부터 1864년 사이에는 슐레스비히를 둘러싼 프로이센과 덴마크 간의 분쟁이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 이어졌다. 오스트리아와 연합한 프로이센은 덴마크를 패배시키고 유틀란트를 점령했으며, 덴마크는 슐레스비히 공국과 홀슈타인 공국을 할양해야 했다. 두 공국의 관리 문제는 보오전쟁의 구실이 되었고, 쾨니히그라츠 전투에서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871년 7월 14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프랑스는 외교적 고립과 전쟁 준비 부족으로 마르스라투르 전투와 그라블로트 전투에서 참패했다. 스당 전투에서 나폴레옹 3세가 포로가 되었고, 파리 시민들은 파리 코뮌을 세워 저항했으나 4개월 만에 항복했다. 프로이센군은 파리에서 시가행진을 벌였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은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알자스와 로렌 지방을 되찾고, 베르사유 궁전에서 빌헬름 1세를 황제로 즉위시켜 독일 제국 수립을 선포했다.

5. 현대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은 베르사유 궁전에서 독일 제후들에게 추대되는 형태로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가 독일 황제로 즉위하며 독일 제국이 성립했다. 이 행위는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모든 민족 독일 국가들을 소독일 해결책에 따라 연방 경제, 정치, 행정 단위로 통일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패전한 프랑스의 복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복잡한 동맹 관계를 구축, 프랑스를 고립화시키는 외교 정책(비스마르크 체제)을 취해 프랑스를 견제했다.

새로운 제국은 규모, 인구 통계, 헌법, 경제, 문화, 종교 및 사회 정치적 발전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25개 주의 연방 연합이었다.

호엔촐레른 가문의 주요 거주지였던 베를린 궁전


독일은 문화투쟁을 통해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자 했으나, 가톨릭 신자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실패했다.

1875년, 비스마르크(왼쪽)가 교황 비오 9세와 대치하는 모습을 그린 ''베를린과 로마 사이''


비스마르크는 1870년부터 1890년까지 독일뿐 아니라 유럽 전체, 그리고 전 세계 외교계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205]

건설 중인 높이 91m의 민족 전투 기념비, 라이프치히, 1912년


해외 식민지로는 나미비아,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카메룬, 토고, 남양 군도, 뉴기니섬 북동부, 사모아, 중국 산둥반도 등을 획득했다.

1888년, 빌헬름 1세가 사망하고 프리드리히 3세가 즉위했으나 6개월 만에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빌헬름 2세 즉위 후 1890년 비스마르크가 실각하고, 3B 정책을 추진하며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1905년 당시 빌헬름 2세의 모습


"조종사를 버리는 것" – 1890년 빌헬름 2세에 의한 비스마르크 해임을 묘사한 영국의 풍자 만화


이로 인해 3C 정책을 내세웠던 대영 제국, 러시아 제국, 프랑스와의 모로코 사건 등 대립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1914년 독일 식민지 및 보호령


독일 식민지 토골란드의 식민지 영주


1881년 루드비히스하펜(Ludwigshafen)의 바스프(BASF) 화학 공장


1912년 베를린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270] 독일은 세르비아를 지원하는 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하고,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와 영국을 공격했으나, 마른 전투에서 패배하며 전쟁은 참호전 양상으로 장기화되었다.[271]

화물열차 문과 창문에서 손을 흔드는 사람들
1914년 전선으로 향하는 독일군 병사들. 단기전을 예상하며, 차량에는 "파리 여행"이라는 메시지가 적혀 있다.


참호에 틀어박힌 독일군이 프랑스군의 공격을 격퇴하는 모습


1917년 미국이 참전하고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면서 독일은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272][274] 1918년에는 동맹국들이 잇따라 항복하고, 11월 혁명으로 빌헬름 2세가 퇴위하면서 독일 제국은 붕괴되었다.[282] 1918년 11월 11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1918년 11월 11일 콩피에뉴에서 체결된 독일과의 휴전을 묘사한 그림


전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은 식민지와 영토 일부를 상실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으며, 군비가 제한되었다.[286][288] 특히 전쟁 책임 조항(제231조)은 독일이 전쟁의 모든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여 독일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290][291]

1920~1938년 독일


11월 혁명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SPD) 주도로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284] 바이마르 헌법은 민주적인 연방 공화제를 채택했으며,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92][293] 그러나 바이마르 공화국은 베르사유 조약의 가혹한 조건,[294] 좌우익 세력의 공격,[295][296][297]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302][304]

베를린에서 예금한 돈을 찾으러 은행에 몰려든 사람들


1929년 경제 대공황으로 실업자가 급증하고 경제가 악화되면서 나치당이 급부상했다.[307][308][309]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고,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을 계기로 나치당이 제1당으로 집권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은 막을 내렸다.[301]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기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에 임명된 후, 나치당은 일당 독재 체제를 확립하고 제3제국을 선포했다.[408] 인종주의아리아 인종 우월주의를 내세워 유대인, 집시, 소수 민족, 장애인 등을 학살했다.[318][319][320][321] 1934년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후 히틀러는 총통으로 독재 권력을 장악했다.[408]

햘마르 샤흐트의 경제 정책으로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1935년 베르사유 조약 파기, 재무장 선언,[322] 1936년 라인란트 진주,[323]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체코슬로바키아 합병 등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1936년에는 베를린 올림픽을 개최하여 선전 효과를 극대화했다.[323]

1936년 베를린 올림픽 – 나치 정권의 훌륭한 선전 성공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406][407] 초기에는 전격전으로 승승장구했으나, 1941년 미국의 참전,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및 쿠르스크 전투 패배 등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국회의사당에 소련 깃발을 꽂는 소련 군인(베를린 전투)


1945년 4월 30일 히틀러 자살, 5월 8일 독일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은 종결되었다.[324][325]

뉘른베르크 재판에 선 나치 전범들


1945년 5월 8일부터 1990년 10월 3일까지 45년간 독일은 분단 시대를 겪었다.[326] 이 시기는 크게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의 분할 점령 시대와 동독서독 두 국가 시대로 나뉜다.

1945년의 분할 점령된 독일.


서독의 국기.


동독의 국기.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독일은 연합군 4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326] 얄타 회담 등의 합의에 따라 독일령 동부는 폴란드 영토가 되었고, 오데르-나이세 선이 잠정적인 국경으로 설정되었다. 동프로이센 지역은 폴란드와 소비에트 연방이 분할했다. 이로 인해 독일은 동부 지역과 프로이센을 상실했으며, 해당 지역의 독일인들은 추방되어 난민이 되었다(독일인 추방).[329][330]

1947년 점령 지역 경계. 소련 점령 지역 내에 있었던 베를린도 네 개의 점령국에 의해 분할되었다. 동쪽의 흰색 지역은 포츠담 협정에 따라 폴란드와 소련에 할양되었다.


1949년 서독동독 정부가 각각 수립되면서 독일은 동서로 분단되었다.[326] 소련은 동독과 동베를린에, 미국, 영국, 프랑스는 서독과 서베를린에 주둔했다. 1961년 8월 13일, 동독 주민들의 서방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이 설치되었다.[348][349]

1970년 서독 총리 빌리 브란트는 동방 정책을 추진하여 동독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354] 1972년 동서독 기본 조약이 체결되었고, 1973년 동서독은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372]

동서독의 유엔 가입 (1973)


1989년 가을부터 동독 지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었다.[382] 이는 1990년 10월 3일 서독이 동독을 흡수하는 형태의 독일 재통일로 이어졌다.[382]

1989년 동유럽 혁명과 베를린 장벽 붕괴에 이어, 1990년 10월 3일 동독서독은 통일되었다.[354][382] 제2차 세계 대전 승전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과 유럽연합의 승인을 받아 독일 연방 공화국으로 재탄생했다.[382] 통일 당시 수도는 이었으나 1999년 베를린으로 이전했다.[382]

통일 당시 베를린의 모습


통일 이후 물가 상승, 실업자 증가, 구 동독 주민들의 사회적 부적응, 네오나치 운동 등 여러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382] 구 동독 지역에서는 공산주의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마르크스 관련 상품이 유행처럼 번지기도 했다.[382] 또한, 외국인 노동자 이주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있다. 특히, 서독은 숙련되지 않은 노동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트아르바이터(Gastarbeiter)''를 받아들였다.[367] 2010년까지 독일에는 약 400만 명의 터키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독일어와 터키어 모두 능숙하지 못했고 저숙련 일자리에 종사하거나 실업 상태인 경우가 많았다.[369][370]

헬무트 콜은 재통일된 독일의 초대 총리가 되었다.


헬무트 콜 총리는 4강대국의 승인을 얻어 통일을 이끌었으나, 1998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패배하고 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총리직을 물려주었다.[376][377]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Reichstag) - 1999년부터 독일 의회의 의석


사민당(SPD)/녹색당 연합은 1998년 선거에서 승리했고, 게르하르트 슈뢰더는 중도파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복지 국가 축소 정책을 추진했다.[383] 2005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앙겔라 메르켈이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385]

2007년 EU 개혁을 위한 리스본 조약을 홍보하는 독일 총리 앙겔라 메르켈과 조제 마누엘 바르호주


독일은 G8과 EU의 핵심 국가 중 하나로, 대규모 산업력과 공업력을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382] 유럽 통합 추진, 에너지 전환 ()을 통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 균형 예산을 위한 재정 긴축, 출산율 증가를 위한 출산 장려 정책, 독일 경제 전환을 위한 첨단 기술 전략 (Industry 4.0)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385] 또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387][388]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540명이 넘는 독일인이 사망했다. 1990년 이후 독일 독일 연방군은 해외에서 여러 평화유지 및 재난 구호 작전에 참여했다.[387][388] 2011년 지진과 쓰나미 이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독일은 원자력 발전을 폐쇄하고 대체 에너지원에 더 의존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89]

독일은 유럽 난민 위기에 대응하여 100만 명이 넘는 난민과 이민자를 수용하고, 이들을 연방 주에 재분배하는 할당제를 개발했다.[390] 메르켈의 결정은 독일 내부와 유럽에서 비판을 받았으며, 독일을 위한 대안의 부상에 영향을 미쳤다.[391][392][393]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사회민주당(SPD)이 승리하고 올라프 숄츠가 총리로 취임하여 녹색당,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구성했다.[395][39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독일은 국방비를 증액하고 우크라이나 난민을 수용하는 등 정책 변화를 보였다.[399][400] 2023년 12월 기준, 독일은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 유럽 최대 규모의 경제 대국이며 세계 3위의 수출국이다.[401]

5. 1. 독일 제국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은 베르사유 궁전에서 독일 제후들에게 추대되는 형태로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가 독일 황제로 즉위하며 독일 제국이 성립했다. 이 행위는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모든 민족 독일 국가들을 소독일 해결책에 따라 연방 경제, 정치, 행정 단위로 통일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패전한 프랑스의 복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복잡한 동맹 관계를 구축, 프랑스를 고립화시키는 외교 정책(비스마르크 체제)을 취해 프랑스를 견제했다.

새로운 제국은 규모, 인구 통계, 헌법, 경제, 문화, 종교 및 사회 정치적 발전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25개 주의 연방 연합이었다.

독일은 문화투쟁을 통해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자 했으나, 가톨릭 신자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실패했다.

비스마르크는 1870년부터 1890년까지 독일뿐 아니라 유럽 전체, 그리고 전 세계 외교계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205]

해외 식민지로는 나미비아,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카메룬, 토고, 남양 군도, 뉴기니섬 북동부, 사모아, 중국 산둥반도 등을 획득했다.

1888년, 빌헬름 1세가 사망하고 프리드리히 3세가 즉위했으나 6개월 만에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빌헬름 2세 즉위 후 1890년 비스마르크가 실각하고, 3B 정책을 추진하며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이로 인해 3C 정책을 내세웠던 대영 제국, 러시아 제국, 프랑스와의 모로코 사건 등 대립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5. 2. 제1차 세계 대전과 바이마르 공화국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270] 독일은 세르비아를 지원하는 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하고,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와 영국을 공격했으나, 마른 전투에서 패배하며 전쟁은 참호전 양상으로 장기화되었다.[271]

1917년 미국이 참전하고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면서 독일은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272][274] 1918년에는 동맹국들이 잇따라 항복하고, 11월 혁명으로 빌헬름 2세가 퇴위하면서 독일 제국은 붕괴되었다.[282] 1918년 11월 11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전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은 식민지와 영토 일부를 상실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으며, 군비가 제한되었다.[286][288] 특히 전쟁 책임 조항(제231조)은 독일이 전쟁의 모든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여 독일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290][291]

11월 혁명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SPD) 주도로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284] 바이마르 헌법은 민주적인 연방 공화제를 채택했으며,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92][293] 그러나 바이마르 공화국은 베르사유 조약의 가혹한 조건,[294] 좌우익 세력의 공격,[295][296][297]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302][304]

1929년 경제 대공황으로 실업자가 급증하고 경제가 악화되면서 나치당이 급부상했다.[307][308][309]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고,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을 계기로 나치당이 제1당으로 집권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은 막을 내렸다.[301]

5. 3. 나치 독일과 제2차 세계 대전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에 임명된 후, 나치당은 일당 독재 체제를 확립하고 제3제국을 선포했다.[408] 인종주의아리아 인종 우월주의를 내세워 유대인, 집시, 소수 민족, 장애인 등을 학살했다.[318][319][320][321] 1934년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후 히틀러는 총통으로 독재 권력을 장악했다.[408]

햘마르 샤흐트의 경제 정책으로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1935년 베르사유 조약 파기, 재무장 선언,[322] 1936년 라인란트 진주,[323]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체코슬로바키아 합병 등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1936년에는 베를린 올림픽을 개최하여 선전 효과를 극대화했다.[323]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406][407] 초기에는 전격전으로 승승장구했으나, 1941년 미국의 참전,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및 쿠르스크 전투 패배 등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1945년 4월 30일 히틀러 자살, 5월 8일 독일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은 종결되었다.[324][325]

5. 4. 분단 시대의 독일

1945년 5월 8일부터 1990년 10월 3일까지 45년간 독일은 분단 시대를 겪었다.[326] 이 시기는 크게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의 분할 점령 시대와 동독서독 두 국가 시대로 나뉜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독일은 연합군 4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326] 얄타 회담 등의 합의에 따라 독일령 동부는 폴란드 영토가 되었고, 오데르-나이세 선이 잠정적인 국경으로 설정되었다. 동프로이센 지역은 폴란드와 소비에트 연방이 분할했다. 이로 인해 독일은 동부 지역과 프로이센을 상실했으며, 해당 지역의 독일인들은 추방되어 난민이 되었다(독일인 추방).[329][330]

1949년 서독동독 정부가 각각 수립되면서 독일은 동서로 분단되었다.[326] 소련은 동독과 동베를린에, 미국, 영국, 프랑스는 서독과 서베를린에 주둔했다. 1961년 8월 13일, 동독 주민들의 서방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이 설치되었다.[348][349]

1970년 서독 총리 빌리 브란트는 동방 정책을 추진하여 동독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354] 1972년 동서독 기본 조약이 체결되었고, 1973년 동서독은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372]

1989년 가을부터 동독 지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었다.[382] 이는 1990년 10월 3일 서독이 동독을 흡수하는 형태의 독일 재통일로 이어졌다.[382]

5. 5. 현대의 독일

1989년 동유럽 혁명과 베를린 장벽 붕괴에 이어, 1990년 10월 3일 동독서독은 통일되었다.[354][382] 제2차 세계 대전 승전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과 유럽연합의 승인을 받아 독일 연방 공화국으로 재탄생했다.[382] 통일 당시 수도는 이었으나 1999년 베를린으로 이전했다.[382]

통일 이후 물가 상승, 실업자 증가, 구 동독 주민들의 사회적 부적응, 네오나치 운동 등 여러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382] 구 동독 지역에서는 공산주의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마르크스 관련 상품이 유행처럼 번지기도 했다.[382] 또한, 외국인 노동자 이주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있다. 특히, 서독은 숙련되지 않은 노동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트아르바이터(Gastarbeiter)''를 받아들였다.[367] 2010년까지 독일에는 약 400만 명의 터키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독일어와 터키어 모두 능숙하지 못했고 저숙련 일자리에 종사하거나 실업 상태인 경우가 많았다.[369][370]

헬무트 콜 총리는 4강대국의 승인을 얻어 통일을 이끌었으나, 1998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패배하고 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총리직을 물려주었다.[376][377]

사민당(SPD)/녹색당 연합은 1998년 선거에서 승리했고, 게르하르트 슈뢰더는 중도파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복지 국가 축소 정책을 추진했다.[383] 2005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앙겔라 메르켈이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385]

독일은 G8과 EU의 핵심 국가 중 하나로, 대규모 산업력과 공업력을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382] 유럽 통합 추진, 에너지 전환 ()을 통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 균형 예산을 위한 재정 긴축, 출산율 증가를 위한 출산 장려 정책, 독일 경제 전환을 위한 첨단 기술 전략 (Industry 4.0)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385] 또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387][388]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540명이 넘는 독일인이 사망했다. 1990년 이후 독일 독일 연방군은 해외에서 여러 평화유지 및 재난 구호 작전에 참여했다.[387][388] 2011년 지진과 쓰나미 이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독일은 원자력 발전을 폐쇄하고 대체 에너지원에 더 의존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89]

독일은 유럽 난민 위기에 대응하여 100만 명이 넘는 난민과 이민자를 수용하고, 이들을 연방 주에 재분배하는 할당제를 개발했다.[390] 메르켈의 결정은 독일 내부와 유럽에서 비판을 받았으며, 독일을 위한 대안의 부상에 영향을 미쳤다.[391][392][393]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사회민주당(SPD)이 승리하고 올라프 숄츠가 총리로 취임하여 녹색당,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구성했다.[395][39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독일은 국방비를 증액하고 우크라이나 난민을 수용하는 등 정책 변화를 보였다.[399][400] 2023년 12월 기준, 독일은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 유럽 최대 규모의 경제 대국이며 세계 3위의 수출국이다.[401]

6. 참고자료 및 문헌자료


  • 마틴 키친/Martin Kitchende 지음(1994), 유정희 옮김(2001),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독일사》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Germany), 시공사,
  • <<고등학교 세계사>>, 교학사 출판.
  • <<세계사>>, 일빛 출판.
  • <<유시민과 함께 읽는 독일 문화 이야기>>, 유시민 편역.
  • [https://web.archive.org/web/20110807034537/http://www.zdf.de/ZDFxt/module/diedeutschen/ ZDF 다큐멘터리 독일 1천년사 내용中..]
  • 독일 지도집(Atlas of Germany) 위키미디어 공용 지도; 저작권 없음
  • Adams, Simon. ''30년 전쟁''. 1997. Psychology Press.
  • Barraclough, Geoffrey. ''근대 독일의 기원''. 1984. W.W. Norton.
  • Beevor, Antony. ''제2차 세계 대전''. 2012. Little, Brown.
  • Bordewich, Fergus M.. "역사를 바꾼 매복". 2005년 9월. 스미스소니언.
  • Bowman, Alan K., Garnsey, Peter, Cameron, Averil. ''제국의 위기, 서기 193–337''. 2005.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adbury, Jim. ''중세 전쟁에 대한 라우틀리지 동반자''. 2004. 라우틀리지.
  • Brady, Thomas A. Jr. ''종교 개혁 시대의 독일 역사, 1400–1650''. 2009.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arr, William. ''독일사: 1815-1990''. 1991. Routledge.
  • Carsten, Francis. ''프로이센의 기원''. 1958.
  • Clark, Christopher. ''철의 왕국: 프로이센의 부상과 몰락, 1600–1947''. 2006. Harvard University Press.
  • Claster, Jill N. ''중세 경험: 300–1400''. 1982. 뉴욕 대학교 출판부.
  • Damminger, Folke. ''메로빙거 시대의 프랑크족과 알레만니족: 민족지적 관점''. 2003. Boydell & Brewer.
  • Day, Clive. ''상업의 역사''. 1914. Longmans, Green, and Company.
  • Drew, Katherine Fischer. ''살리안 프랑크족의 법률''. 2011.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Evans, Richard J. ''제3제국의 도래''. 2003. 펭귄 북스.
  • Evans, Richard J. ''권력의 제3제국''. 2005. Penguin.
  • Fichtner, Paula S. ''오스트리아 역사 사전''. 2009. 허수아비 프레스.
  • Fortson, Benjamin W. ''인도유럽 언어와 문화: 소개''. 2011. 존 와일리 앤 선즈.
  • Fuhrmann, Horst. ''고중세 독일: 1050–1200년경''. 1986.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reen, Dennis H. ''초기 게르만 세계의 언어와 역사''. 2000.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Green, Dennis H. ''이주 시대부터 7세기까지의 서고트족: 민족지적 관점''. 2003. 보이델 앤 브루어.
  • Hayton, Darin. ''왕관과 우주: 점성술과 막시밀리안 1세의 정치''. 2015.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 Heather, Peter J. ''로마 제국의 멸망: 로마와 야만인들의 새로운 역사''. 2006. Oxford University Press.
  • Historicus. ''프랑스의 33차 정복 전쟁''. 1935. Internationaler Verlag.
  • Heather, Peter. ''제국과 야만인: 로마의 몰락과 유럽의 탄생''. 2010.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 Hen, Yitzhak. ''메로빙거 갈리아의 문화와 종교: 서기 481–751년''. 1995. Brill.
  • Holborn, Hajo. ''근대 독일사''. 1959. Alfred A. Knopf.
  • Holborn, Hajo. ''근대 독일사''. 1964. Alfred A. Knopf.
  • Holborn, Hajo. ''근대 독일사''. 1969. Alfred A. Knopf.
  • Kershaw, Ian. ''히틀러: 전기''. 2008. W. W. Norton & Company.
  • ''중세 프랑스: 백과사전''. 1995. Psychology Press.
  • Kristinsson, Axel. ''팽창: 청동기 시대 이후 유럽의 경쟁과 정복''. 2010. ReykjavíkurAkademían.
  • Lee, Loyd E. ''독일 연방과 남부 독일 주의 국가 권력 강화, 1815–1848''. 1985. 혁명 유럽 컨소시엄 1750–1850: 회의록.
  • Longerich, Peter. ''하인리히 힘러: 일생''. 2012. Oxford University Press.
  • Majer, Diemut. ''"비독일인" 제3제국 하에서: 독일과 점령된 동유럽의 나치 사법 및 행정 체제, 특히 점령된 폴란드, 1939–1945''. 2003.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왕자와 왕족 문화: 1450–1650''. 2003. BRILL.
  • Mommsen, Hans. ''바이마르 민주주의의 부상과 몰락''. 1996.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Noflatscher, Heinz. ''막시밀리안 1세 (1459–1519): 인식 – 번역 – 성별''. 2011. StudienVerlag.
  • Nipperdey, Thomas. ''나폴레옹에서 비스마르크까지의 독일: 1800–1866''. 1996. Princeton University Press.
  • Ozment, Steven. ''위대한 요새: 독일 민족의 새로운 역사''. 2004. 하퍼 페레니얼.
  • ''독일''. 세계사 간략 백과사전. 2007. Atlantic Publishers.
  • Richie, Alexandra. ''파우스트의 대도시. 베를린의 역사''. 1998.
  • Rodes, John E. ''독일: 역사''. 1964. 홀트, 라이너트 앤 윈스턴.
  • Rüger, C. ''캠브리지 고대사: X, 아우구스투스 제국, 기원전 43년 – 서기 69년''. 2004.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agarra, Eda. ''독일 사회사 1648–1914''. 1977. Transaction Publishers.
  • Schulman, Jana K. ''중세 세계의 부상, 500–1300: 인물 사전''. 2002. Greenwood Press.
  • Sheehan, James J. ''독일 역사 1770–1866''. 1989. Oxford University Press.
  • Stollberg-Rilinger, Barbara. ''신성 로마 제국: 간략사''. 2021년 5월 11일.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tolper, Gustav. ''독일 경제, 1870-1940: 쟁점과 동향''. 2017년 6월 14일. Routledge.
  • Thompson, James Westfall. ''후기 중세 유럽의 경제 및 사회사 (1300–1530)''. 1931.
  • Van Dam, Raymond. ''새로운 캠브리지 중세사''. 19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haley, Joachim. ''독일과 신성 로마 제국: 제2권: 베스트팔렌 조약에서 제국의 해체까지, 1648-1806''. 2011년 11월 24일. Oxford University Press.
  • Wiesflecker, Hermann. ''막시밀리안 1세''. 1991. Verlag für Geschichte und Politik.
  • Wilson, Peter H. ''유럽의 심장: 신성 로마 제국의 역사''. 2016. 벨크냅 프레스.
  • 비텔, 제스로 편. (1955) ''독일: 독일 연구를 위한 안내서''
  • 뵈슈, 프랑크. (2015) ''대중매체와 역사적 변화: 국제적 관점에서 본 독일, 1400년대부터 현재까지''
  • 부제, 디터 K. 편. (1998) ''근대 독일: 1871~1990년 역사, 인물, 문화 백과사전''
  • 데트와일러, 도널드 S. (1999) ''독일: 간략한 역사''
  • Fulbrook, Mary. ''독일의 간략한 역사''. 1990.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갈, 로타르. (2003) ''이정표 - 좌절 - 탈선: 독일 의회 민주주의로 가는 길, 베를린 도이처 돔의 역사 전시회''
  • Herbert, Ulrich. (2019) ''20세기 독일사''
  • 키친, 마틴. (2006) ''근대 독일사, 1800~2000''
  • 메흘, 윌리엄 하비. (1979) ''서구 문명 속의 독일''
  • 오를로, 디트리히. (2002) ''근대 독일사: 1871년부터 현재까지''
  • 라프, 디터. (1988) ''중세 제국부터 현재까지의 독일사''
  • 라인하르트, 쿠르트 F. (1961) ''독일: 2000년''
  • Schulze, Hagen, 그리고 데보라 루카스 슈나이더. (2001) ''독일: 새로운 역사''
  • Smith, Helmut Walser, 편. (2011) ''옥스퍼드 근대 독일사 핸드북''
  • Smith, Helmut Walser. ''독일, 시대를 살아가는 국가: 민족주의 이전, 동안, 이후, 1500~2000''. 2020.
  • 스나이더, 루이스 편. (1958) ''독일 역사 문서''.
  • Taylor, A.J.P. ''독일 역사의 흐름: 1815년 이후 독일 역사 발전에 대한 개관''. 2001.
  • 왓슨, 피터. (2010) ''독일의 천재성''.
  • 윙클러,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2006) ''독일: 서쪽으로의 긴 여정''
  • 자베키, 데이비드 T. 편. (2015) ''전쟁 중인 독일: 400년의 군사 역사''
  • 베인턴, 롤랜드 H. (1978; 1995년 재판) ''여기 내가 서 있다: 마르틴 루터의 일생''
  • 디킨스, A. G. (1969) ''마르틴 루터와 종교 개혁''
  • 융한스, 헬마르. (1998) ''마르틴 루터: 그의 삶과 시대 탐구, 1483–1546''
  • 맥컬로크, 디아르마이드. (2005) ''종교 개혁''
  • 랑케, 레오폴트 폰. (1905) ''독일 종교 개혁사''
  • 스미스, 프레저브드. (1920) ''종교 개혁 시대''
  • 로버트 A. 칸, (n.d). ''합스부르크 제국사 1526–1918''
  • Asprey, Robert B.. (2007) ''프리드리히 대왕: 장엄한 수수께끼''
  • 애트킨슨, C.T. (1908) ''1715-1815년 독일 역사''
  • Blanning, Tim. (2016) ''프리드리히 대왕: 프로이센의 왕''
  • 브루포드, W.H. (1935, 1971) ''18세기 독일: 문학 부흥의 사회적 배경''
  • 갈리아르도, 존 G. (1991) ''구체제하의 독일 1600-1790''
  • 가크소트, 피에르. (1942) ''프리드리히 대왕''
  • 힐, 브리짓. (2007) ''근대 초기 독일의 성모 마리아 숭배: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 경건, 1500-1648''
  • 휴즈, 마이클. (1992) ''근대 초기 독일, 1477-1806''
  • Ogilvie, Sheila. (1996) ''독일: 새로운 사회경제사, 제1권: 1450-1630''
  • 오길비, 쉴라. (2003) ''쓰라린 삶: 근대 초기 독일의 여성, 시장, 사회 자본''
  • Ozment, Steven. (2001) ''육체와 정신: 근대 초기 독일의 사생활''
  • 슐체, 하겐. (1991) ''독일 민족주의의 과정: 프리드리히 대왕에서 비스마르크까지 1763-1867''
  • 스토링, 애덤 L. (2021) "'우리 시대': 프리드리히 대왕, 고전적 전쟁, 그리고 군사 역사의 이용과 남용."
  • 블랙번, 데이비드. (1998). *긴 19세기: 1780-1918년 독일 역사*.
  • 블랙번, 데이비드 & 엘리, 제프. (1984). *독일 역사의 특이성: 19세기 독일의 부르주아 사회와 정치*.
  • 브란덴부르크, 에리히. (1933). *비스마르크에서 제1차 세계대전까지: 1870-1914년 독일 외교 정책사*.
  • 브로스, 에릭 돈. (1997). *독일 역사, 1789-1871: 신성 로마 제국에서 비스마르크 제국까지*.
  • 크레이그, 고든 A. (1978). *독일, 1866-1945*.
  • 해머로우, 테오도어 S. 편. (1974). *비스마르크 시대: 문서와 해석*.
  • 해머로우, 테오도어 S. 편. (1993).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제국 독일: 역사적 평가*.
  • 호이어, 카트야. (2021). *피와 철: 1871-1918년 독일 제국의 흥망성쇠*.
  • 오길비, 쉴라 & 오버리, 리처드. (2004). *독일: 새로운 사회경제사 3권: 1800년 이후*.
  • 플란체, 오토 편. (1979). *독일 통일, 1848-1871*.
  • 램, 아가타. (1967). *독일, 1789-1919: 정치사*.
  • 시한, 제임스 J. (1993). *독일 역사, 1770-1866*.
  • 스타인버그, 조나단. (2011). *비스마르크: 일생*.
  • 슈테른, 프리츠. (1979). *황금과 철: 비스마르크, 블라이흐로더, 그리고 독일 제국의 건설*.
  • 테일러, A.J.P. (1969). *비스마르크: 인물과 정치가*.
  • 벨러, 한스-울리히. (1984). *독일 제국 1871-1918*.
  • Balfour, Michael. (1972) ''카이저와 그의 시대''
  • Berghahn, Volker Rolf. (1987) ''근대 독일: 20세기 사회, 경제, 정치''
  • Berghahn, Volker Rolf. (2005) ''제국 독일, 1871–1914: 경제, 사회, 문화, 정치''
  • Brandenburg, Erich. (1927) ''비스마르크에서 제1차 세계 대전까지: 1870–1914년 독일 외교 정책사''
  • Cecil, Lamar. (1996) ''빌헬름 2세: 황태자와 황제, 1859–1900''
  • Cecil, Lamar. (1989) 2권: ''빌헬름 2세: 황제와 망명자, 1900–1941''
  • Child, John. (2009) ''Edexcel GCSE 역사 A: 현대 세계의 형성: 2A 단원, 1918–39년 독일: 학생 교재''
  • Craig, Gordon A. (1978) ''독일, 1866–1945''
  • Dugdale, E.T.S. 편. ''1871–1914년 독일 외교 문서'' (1928–31)
  • Gordon, Peter E., 및 John P. McCormick, 편. (2013) ''바이마르 사상: 논쟁의 유산''
  • Herbert, Ulrich. (2019) ''20세기 독일 역사''
  • Herwig, Holger H. (1996)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 Kolb, Eberhard. (2005) ''바이마르 공화국''
  • Mommsen, Wolfgang J. (1995) ''제국 독일 1867–1918: 권위주의 국가의 정치, 문화 및 사회''
  • Morrow, Ian F. D. "프린츠 폰 뷜로의 외교 정책, 1898–1909".
  • Peukert, Detlev. (1993) ''바이마르 공화국''
  • Retallack, James. (2008) ''제국 독일, 1871–1918''
  • Scheck, Raffael. (2008) "강의 노트, 독일과 유럽, 1871–1945"
  • Stolper, Gustav. (2017) ''독일 경제, 1870–1940: 쟁점과 동향''
  • Watson, Alexander. (2014) ''강철의 고리: 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 불록, 앨런. (1962) ''히틀러: 폭정 연구''
  • 버리, 마이클. (2000) ''제3제국: 새로운 역사''.
  • Evans, Richard J. ''전쟁 중의 제3제국''. 2008.
  • 프리드랜더, 사울. (2009) ''나치 독일과 유대인, 1933–1945''
  • 허버트, 울리히. (2019) ''20세기 독일 역사''
  • 커쇼, 이언. (1999) ''히틀러, 1889–1936: 오만.''
  • 커쇼, 이언. (2000) ''히틀러, 1936–1945: 응보.''
  • 커크, 팀. (2017) ''롱맨 나치 독일 안내서''.
  • 쿤츠, 클라우디아. (1986) ''조국에서의 어머니들: 여성, 가족 생활, 그리고 나치 이데올로기, 1919–1945.''
  • 오버리, 리처드. (2004) ''독재자들: 히틀러의 독일과 스탈린의 러시아''
  • 슈필보겔, 잭슨 J. 그리고 데이비드 레들스. (2009) ''히틀러와 나치 독일''
  • 스타켈버그, 로데릭. (1999) ''히틀러의 독일: 기원, 해석, 유산''
  • 스타켈버그, 로데릭, 편집. (2007) ''라우틀리지 나치 독일 안내서''
  • 스티비, 매슈. (2003) ''제3제국 여성들''
  • 투즈, 아담. (2007) ''파괴의 대가: 나치 경제의 형성과 붕괴''
  • 톰셋, 마이클 C. (2007) ''히틀러에 대한 독일의 저항: 저항, 지하 조직, 그리고 암살 음모, 1938–1945''
  • 첸트너, 크리스티안 그리고 베뒤르프티히, 프리데만, 편집. (1991) ''제3제국의 백과사전''.
  • Bark, Dennis L. & Gress, David R. (1992). 서독의 역사 1권: 그림자에서 실체로, 1945–1963.
  • Bark, Dennis L. & Gress, David R. (1992). 서독의 역사 2권: 민주주의와 그 불만들, 1963–1991.
  • Berghahn, Volker Rolf. (1987) 20세기 독일: 사회, 경제, 정치.
  • Daum, Andreas. (2008) 케네디와 베를린.
  • Gehler, Michael. (2013) 세 개의 독일: 서독, 동독 그리고 베를린 공화국.
  • Hanrieder, Wolfram F. (1989) 독일, 미국, 유럽: 40년간의 독일 외교 정책.
  • Herbert, Ulrich. (2019) 20세기 독일 역사.
  • Jähner, Harald. (2022) 여파: 제3제국의 몰락 이후의 삶, 1945-1955.
  • Jarausch, Konrad H. (2008) 히틀러 이후: 독일인들의 재문명화, 1945–1995.
  • Junker, Detlef (편집). (2004) 냉전 시대의 미국과 독일.
  • Main, Steven J. (2014) 소련의 독일 점령: 기아, 대량 폭력 그리고 평화를 위한 투쟁, 1945–1947.
  • Schwarz, Hans-Peter. (1995) 콘라트 아데나워: 전쟁, 혁명 그리고 재건 시대의 독일 정치가이자 국사.
  • Smith, Gordon (편집). (1992) 독일 정치의 발전.
  • 점령하의 독일 문서, 1945–1954. (1955).
  • Weber, Jurgen. (2004) 독일, 1945–1990.
  • Dennis, Mike, and Norman LaPorte. (2011) ''동독의 국가와 소수자들''
  • Fulbrook, Mary. (1998) ''독재의 해부: 동독 내부, 1949–1989''
  • Fulbrook, Mary. (2008) ''인민국가: 히틀러부터 호네커까지 동독 사회''
  • Harsch, Donna. (2008) ''가정의 복수: 동독의 여성, 가족, 그리고 공산주의''
  • Jarausch, Konrad H. and Eve Duffy. (1999) ''경험으로서의 독재: 동독의 사회문화사를 향하여''
  • Jarausch, Konrad H., and Volker Gransow, eds. (1994) ''독일 통일: 1944–1993년 문서와 논쟁''
  • McAdams, A. James. (1992 and 1993) "분단된 독일: 베를린 장벽에서 통일까지".
  • Pence, Katherine, and Paul Betts, eds. (2008) ''사회주의 모더니즘: 동독의 일상 문화와 정치''
  • Pritchard, Gareth. (2004) ''동독의 형성, 1945–53''
  • Ross, Corey. (2002) ''동독 독재: 동독 해석의 문제점과 전망''
  • Saxonberg, Steven. (2013) ''몰락: 체코슬로바키아, 동독, 헝가리, 폴란드에서 공산주의 종말에 대한 비교 연구''
  • Steiner, André. (2010) ''실패한 계획들: 동독 경제사, 1945–1989''
  • 베르크하인, 볼커 R., 라시그, 시모네 (편). (2008) 『구조와 행위 사이의 전기: 국제 역사서술에서 중앙 유럽의 삶』
  • 치커링, 로저 (편). (1996) 『제국 독일: 역사서술 안내서』
  • 에반스, 리처드 J. (1997) 『독일 역사 재독해: 통일에서 재통일까지, 1800-1996』
  • 하게만, 카렌, 콰타에르트, 진 H. (편). (2008) 『현대 독일 역사의 성별화: 역사서술 재해석』
  • 하게만, 카렌. "주변부에서 주류로? 독일의 여성 및 성 역사". 2007.
  • 하겐, 윌리엄 W. (2012) 『근대 독일 역사: 국가의 네 가지 삶』
  • 야라우슈, 콘라드 H., 게이어, 마이클 (편). (2003) 『산산조각난 과거: 독일 역사 재구성』
  • 클레스만, 크리스토프. (2001) 『분열된 과거: 전후 독일 역사 재해석』
  • 레만, 하르트무트, 멜튼, 제임스 반 혼 (편). (2003) 『연속성의 길: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중앙 유럽 역사서술』
  • 퍼킨스, J. A. (1986년 4월) "독일 농업사 서술의 이원론"
  • 뤼거, 얀, 왁스만, 니콜라우스 (편). (2015) 『독일 역사 재해석: 현대 독일의 새로운 관점』
  • 슈투히티, 베네딕트, 벤데, 피터 (편). (2000) 『영국과 독일 역사서술, 1750-1950: 전통, 인식, 전수』

참조

[1] 뉴스 We Just Found an 11-Million-Year-Old Ancestor That Hints How Humans Began to Walk https://www.sciencea[...] 2019-11-06
[2] 논문 Radiometric dating of the type-site for Homo heidelbergensis at Mauer, Germany 2010
[3] 논문 Several Lower Palaeolithic Sites along the Rhine Rift Valley, Dated from 1.3 to 0.6 Million Years 2019
[4] 서적 Rezension zu: H. Thieme (Hrsg.): Die Schöninger Speere, ...es sind acht Speere...(There are eight javelins) https://www.hsozkult[...] H-Soz-Kult 2019-03-01
[5] 웹사이트 Vogelkiller aus der Steinzeit https://www.spiegel.[...] SPIEGEL Akademie 2020-04-23
[6] 웹사이트 http://stanzon.husem[...] 2024-03-01
[7] 논문 Hominids and hybrids: The place of Neanderthals in human evolutio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99-06-22
[8] 논문 The ecology, subsistence and diet of ~45,000-year-old Homo sapiens at Ilsenhöhle in Ranis, Germany 2024-01-31
[9] 논문 A female figurine from the basal Aurignacian of Hohle Fels Cave in southwestern Germany 2009
[10] 웹사이트 Ice Age Lion Man is the world's earliest figurative sculpture – The Art Newspaper http://www.theartnew[...] 2013-11-24
[11] 웹사이트 The Venus of Hohle Fels http://donsmaps.com/[...]
[12] 뉴스 Earliest music instruments found https://www.bbc.co.u[...] 2012-05-25
[13] 논문 Ancient DNA Analysis of 8000 B.C. Near Eastern Farmers Supports an Early Neolithic Pioneer Maritime Colonization of Mainland Europe through Cyprus and the Aegean Islands 2014-06-05
[14] 웹사이트 3400 BC: The oldest evidence for the use of the wheel and wagon originates from Northern Germany https://www.uni-kiel[...] 2022
[15] 웹사이트 Nebra Sky Disc https://www.landesmu[...]
[16] 논문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 was a source for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2015-06-11
[17] 논문 The Beaker Phenomenon and the Genomic Transformation of Northwest Europ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2018-03-08
[18] PhD Breaking and making the ancestors. Piecing together the urnfield mortuary process in the Lower-Rhine-Basin, c. 1300–400 BC https://www.academia[...] Leiden University 2021
[19] 서적 Deutschland in der Bronzezeit : Bauern, Bronzegiesser und Burgherren zwischen Nordsee und Alpen C. Bertelsmann 1996
[20] 서적 The Celts Penguin Books
[21] 논문 Ancient genomes reveal structural shifts after the arrival of Steppe-related ancestry in the Italian Peninsula 2021-06
[22] 논문 Through 40,000 years of human presence in Southern Europe: the Italian case study 2021-10
[23] 논문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eppe-related ancestry component could have first arrived through Late N/Bell Beaker groups from Central Europe. 2021
[24] 웹사이트 Celtic City: Staatliche Schlösser und Gärten Baden-Württemberg https://www.heunebur[...] 2024-07-31
[25] 웹사이트 Heuneburg (Herbertingen-Hundersingen) http://www.landeskun[...] Landeskunde Online 2020-04-17
[26] 서적 Herodoti Musae https://books.google[...] in bibliopolio Hahniano 1857
[27] 서적 Herodoti historiarum libri IX https://books.google[...] G. Fr. Meyer 1829
[28]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8-25
[29]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2-06-30
[30] 서적 Celts and the 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6
[31] 서적 Penguin Atlas of World History Penguin 1988
[32] 백과사전 Languages of the World: Germanic languages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33] 서적 East and West in Late Antiquity 2015
[34] 논문 Caesar's Description of Bridging the Rhine (Bellum Gallicum 4.16–19): A Literary Analysis https://archive.org/[...] 2013
[35]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36] 웹사이트 C. Julius Caesar, Gallic War https://www.perseus.[...] Perseus Project 2019-03-20
[37] 논문 The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Society of Bombay https://books.google[...] 1917
[38] 웹사이트 Lecture 23 – Rome of Constantine and a New Rome: Overview https://oyc.yale.edu[...] Yale University 2021-11-22
[39] 서적 Barbarian Migrations and the Roman West, 376–5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2-20
[40] 서적 Empires Besieged Time-Life Books 1988
[41] 백과사전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Harrap 1968
[42] 논문 A Game of Bluff: The Fate of Sicily after A.D. 476 1999
[43] 웹사이트 Gregory of Tours (539–594): The Conversion of Clovis, 42. When they were dead Clovis received all their kingdom and treasures https://sourcebooks.[...] Sourcebooks 2019-03-02
[44] 서적 Merovingian Military Organization, 481–751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1972
[45] 서적 Feudal German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03-04
[46] 논문 Integr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in the Carolingian Empire 1992
[47] 서적 Encyclopedia of Barbarian Europe: Society in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03
[48] 서적 The Roman Empire in Context: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23
[49] 논문 Charlemagne's church at Aachen http://www.historyto[...] History Today 1998
[50] 서적 The Encyclopedia of Diplomacy 2018
[51] 웹사이트 Aachen Cathedral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2019-03-18
[52] 논문 The "Imperial Church System" of the Ottonian and Salian Rulers: a Reconsideration Cambridge Press 2011-03-25
[53]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768–1487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1-26
[54] 서적 Northern Europ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55] 웹사이트 Collegiate Church, Castle and Old Town of Quedlinburg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06-25
[56] 웹사이트 The clerical reform movement and the investiture controversy https://www.phil.uni[...] University Passau 2019-03-06
[57] 서적 The Investiture Controversy: Church and Monarchy from the Ninth to the Twelfth Centu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8
[58] 웹사이트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Investiture Controversy?" https://www.enotes.c[...] E Notes 2019-03-02
[5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http://digicoll.libr[...] University of Wisconsin 2019-03-02
[60] 웹사이트 The Military OrdersL Intrioduction http://www.the-orb.n[...] ORB Encyclopedia 2019-03-02
[61] 웹사이트 The Official Name of the Holy Roman Empire http://www.holyroman[...] Holy Roman Empire Association 2019-03-02
[62]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Privileges Granted to German Merchants at Novgorod, 1229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9-03-06
[63] 논문 Reflecting the Nation: The Historiography of Hanseatic Institutions http://whr.uwaterloo[...] 2015
[64] 웹사이트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4th Century https://mises.org/li[...] Mises Institute 2019-03-14
[65] 서적 The North-Eastern Frontiers of Medieval Europe: The Expansion of Latin Christendom in the Baltic Land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5-15
[66] 서적 The Expansion of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5-15
[67] 서적 Ostsiedlung – ein gesamteuropäisches Phänomen https://www.grin.com[...] GRIN Verlag 2019-03-07
[68] 서적 A SZÁSZOK BETELEPÜLÉSE ÉS A DÉLI HATÁRVÉDELEM ÁTSZERVEZÉSE[Establishment of Saxons and reorganisation of border defence in Transylvania] http://mek.oszk.hu/0[...] Akadémiai Kiadó 1986
[69] 서적 Ostsiedlung und Landesausbau in Sachsen: die Kührener Urkunde von 1154 und ihr historisches Umfeld https://books.google[...] Leipziger Universitätsverlag 2008
[70] 웹사이트 Staat des Deutschen Ordens http://www.ordenssta[...] Ordensstaat de 2019-03-07
[71] 서적 The Investiture Controversy: Church and Monarchy from the Ninth to the Twelfth Century 1991
[72]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526–1918 1974
[73] 웹사이트 The Peace of Venice; 1177 http://www.yale.edu/[...] Yale Law School 2019-03-14
[74] 서적 Communes and Despots in Medieval and Renaissance Ital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12-05
[75] 서적 Courtly Culture: Literature and Society in the High Middle Ag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01-01
[76] 서적 Knights at Court: Courtliness, Chivalry & Courtesy from Ottonian Germany to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01-01
[77] 서적 Frederick the Second, 1194–1250 1957
[78] 학술지 Emperor Frederick II., The Hohenstaufe 1903
[79] 웹사이트 The Golden Bull of the Emperor Charles IV 1356 A.D. http://avalon.law.ya[...] Lillian Goldman Law Library 2019-03-18
[80] 서적 A pest in the land: new world epidemics in a global perspectiveress University of New Mexico P 2003
[81] 웹사이트 Jews in the Medieval German Kingdom https://ubt.opus.hbz[...] University of Trier 2019-03-19
[82] 웹사이트 Economic structure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Europe, 1300-1800, page 9 http://www.helsinki.[...]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9-03-19
[83] 서적 Medieval Germany, 1056–1273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84] 서적 The Growth of the Medieval City: From Late Antiquity to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Longman 1997
[85] 서적 Cologne in the Twelfth Century https://archive.org/[...] Gainesville, University Presses of Florida 1974
[86] 서적 Family, Commerce, and Religion in London and Cologne 1998
[87] 서적 Oxford Art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88] 웹사이트 Adam Ries https://www.scientif[...]
[89] 학술지 Rediscovery of the Elements: Agricola https://chemistry.un[...] Alpha Chi Sigma 2024-01-07
[90] 서적 Geological Sciences; Geology: Landforms, Minerals, and Rock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2
[91] 웹사이트 Georgius Agricola https://ucmp.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 Museum of Paleontology 2019-04-04
[92] 기타 Zwingenberger
[93] 웹사이트 Albrecht Dürer, The Triumphal Arch or Arch of Honor – Smarthistory https://smarthistory[...] 2022-03-03
[94] 서적 Class, Culture, and Race in American School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95] 서적 Österreich, Reich und Europa 1502 – 1504 https://books.google[...] Böhlau 2022-01-18
[96] 서적 The Fuggers of Augsburg: Pursuing Wealth and Honor in Renaissance German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22-01-18
[97] 서적 The ABC-CLIO World History Companion to Capitalism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03-04
[98] 서적 Tiroler Ausstellungsstrassen: Maximilian I https://books.google[...] Museum With No Frontiers, MWNF (Museum Ohne Grenzen) 2022-01-18
[99]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An Encyclopedia of Global Warfare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2-03-03
[100] 서적 European History in a World Perspective: Early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Heath 2022-03-03
[101] 뉴스 So wurde Fugger zum reichsten Menschen der Geschichte https://www.welt.de/[...] Welt 2019-03-18
[102] 웹사이트 The Death of the Knight: Changes in Military Weaponry during the Tudor Period https://www.hsu.edu/[...] Academic Forum 2019-03-18
[103] 서적 Kommunikation und Konfrontation: Diplomatie und Gesandtschaftswesen Kaiser Maximilians I. (1486–1519)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2-02-15
[104] 서적 The Paper Trail: An Unexpected History of a Revolutionary Invention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22-03-02
[105] 서적 Mercenaries: A Guide to Private Armies and Private Military Companies https://books.google[...] CQ Press 2021-09-20
[106] 에피소드 Die letzten ihrer Art 2014
[107] 서적 Ruling the Waves: Emperor Maximilian I, the Search for Island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orld Picture c. 1500 https://books.google[...] Antiquariaat Forum 2022-03-03
[108] 학술지 Historical Introduction 2012
[109] 학술지 Zur Entstehungsgeschichte von Dürers Ehrenpforte für Kaiser Maximilian 2017-05-08
[110] 서적 The Origins of Nationalism: An Alternative History from Ancient Rome to Early Modern German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07
[111] 서적 Germania und ihre Söhne: Repräsentationen von Nation, Geschlecht und Politik in der Moderne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22-02-08
[112] 서적 Popular Sovereignty in Early Modern Constitutional Though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20
[113] 서적 German Political Philosophy: The Metaphysics of Law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1-20
[114] 서적 John Selden and the Western Polit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20
[115] 서적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 of Roman Law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1-20
[116] 서적 Das Reich in der Frühen Neuzei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2-02-14
[117] 서적 Dynastie, Reich und Reformation: die württembergischen Herzöge Ulrich und Christoph, die Habsburger und Frankreich https://books.google[...] W. Kohlhammer 2022-02-14
[118] 서적 Organisation und innere Ausgestaltung des Deutschen Bundes 1815–1819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2-02-14
[119] 서적 Networked Nation: Mapping German Cities in Sebastian Münster's "Cosmographia" https://books.google[...] BRILL 2022-02-14
[120] 웹사이트 Whaley on Silver, "Marketing Maximilian: the Visual Ideology of a Holy Roman Emperor" H-German H-Net https://networks.h-n[...] 2022-03-03
[121] 서적 The Habsburg Chancery Language in Perspective, Volume 11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1-09-21
[122] 학술지 Zwei Varietäten der deutschen Schriftsprache durch Konfessionalisierung im 16. und 17. Jahrhundert 2018-08-16
[123] 서적 Germany and the Holy Roman Empire https://www.hsozkult[...]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2-26
[124] 웹사이트 Media, Markets and Institutional Change: Evidence from the Protestant Reformation http://cep.lse.ac.uk[...] CEP 2019-03-19
[125] 서적 The German Reformation 2014
[126] 서적 The German Reformation and the Peasants' War: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2012
[127] 서적 The Counter-Reformation 2015
[128] 학술지 The Causes of the Thirty Years War 1618–1648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
[129]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2009
[130] 서적 The Thirty Years' War 1997
[131] 서적 Germany and the Holy Roman Empire: Volume I: Maximilian I to the Peace of Westphalia, 1493–164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32] 백과사전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Religion 2017
[133] 서적 The European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3-01
[134] 서적 Reformation World
[135] 학술지 Printing and Protestants
[136] 웹사이트 Media, Markets and Institutional Change: Evidence from the Protestant Reformation http://cep.lse.ac.uk[...]
[137] 서적 Printing, Propaganda, and Martin Luther 1994
[138] 웹사이트 Selected Hymns of Martin Luther http://www.projectwi[...]
[139] 학술지 Luther and Cranach on Justification in Word and Image 2004
[140] 학술지 Luther's Translation of the Bible 2014
[141] 서적 The Mathematics of Secrets: Cryptography from Caesar Ciphers to Digital Encryp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2-20
[142] 서적 The Orient in Spain: Converted Muslims, the Forged Lead Books of Granada, and the Rise of Orientalism https://books.google[...] BRILL 2022-02-20
[143] 서적 White Magic, Black Magic in the Europe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LL 2022-02-20
[144] 서적 Reformations: The Early Modern World, 1450–165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01-06
[145] 서적 A Companion to the Class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2-01-06
[146] 서적 The Germanic Review https://books.google[...] Heldref Publications 2022-01-06
[147] 서적 Cartographic Humanism: The Making of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2-01-06
[148] 서적 A Study of the Life and Works of Athanasius Kircher, 'Germanus Incredibilis': With a Selection of his Unpublished Correspondence and an Annotated Translation of his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BRILL 2022-03-04
[149] 서적 Many Minds Relativity https://books.google[...] Claes Johnson 2022-03-04
[150] 서적 Philosophy and Living https://books.google[...] Andrews UK Limited 2022-03-04
[151] 서적 Understanding the Middle Ages: The Transformation of Ideas and Attitudes in the Medieval World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21-10-29
[152] 서적 History of Portuguese Cartography https://books.google[...] Junta de Investigações do Ultramar 2021-11-13
[153] 서적 The Mapmakers' Quest: Depicting New Worlds in Renaissance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08
[154] 서적 Celestial Treasury: From the Music of the Spheres to the Conquest of Spa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07
[155] 서적 Scandalous Error: Calendar Reform and Calendrical Astronomy in Medieval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07
[156] 논문 Copernicanism in Bruno, Kepler, and Galileo http://eccoprogram.i[...] 1975
[157] 웹사이트 DPMA | Johannes Kepler https://www.dpma.de/[...]
[158] 웹사이트 Johannes Kepler: His Life, His Laws and Times | NASA https://www.nasa.gov[...] 2023-09-01
[159] 웹사이트 Molecular Expressions: Science, Optics and You - Timeline - Johannes Kepler https://micro.magnet[...]
[160] 간행물 The rise of Prussia: Rethinking Prussian history, 1700–1830
[161] 학술지 Immigration and the Diffusion of Technology: The Huguenot Diaspora in Prussia 2014
[162] 서적 Pietism and the Making of Eighteenth-Century Prus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8-30
[163] 서적 Man The Measure: A New Approach To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8-30
[164] 백과사전 treaty of Ryswick https://www.oxfordre[...]
[165] 서적 Eastern Europ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History (and More) of a Region that Shaped Our World and Still Does https://books.google[...] Steerforth Press 2014-05-20
[166] 웹사이트 Eugen Prinz von Savoyen https://www.deutsche[...] Deutsche Biographie 2019-03-21
[167] 서적 Austria's Wars of Emergence, 1683–179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2-22
[168] 서적 Frederick the Great: A Military History 2012
[169] 서적 Frederick the Great: A Historical Profi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170] 서적 A History of Franco-German Relations in Europe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2008
[171] 서적 Rebellious Prussians: Urban Political Culture Under Frederick the Great and His Successo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3-14
[172] 간행물 The Partitions of Poland 1965
[173] 서적 The Hessian Mercenary State: Ideas, Institutions, and Reform under Frederick II, 1760–1785 2003
[174] 학술지 Enlightened bureaucracy versus enlightened despotism in Baden, 1750–1792 1965
[175] 서적 Productive men, reproductive women: the agrarian household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spheres during the German Enlightenment 2000
[176] 논문 Bourgeois Values in the Rural Household, 1810–1840: The New Domesticity in Germany 1994
[177] 서적 An introduction to Nineteenth century Germany 1980
[178] 웹사이트 Stein and the era of reform in Prussia, 1807–1815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22
[179] 논문 Agrarian Individualism in North-Western Germany, 1770–1870 1994-04
[180] 서적 Germany under the Old Regime, 1600–1790 1991
[181] 웹사이트 Edict of Potsdam, October 29, 1685 http://germanhistory[...] Deutsche Geschichte in Quellen und Darstellung 2019-03-26
[182] 논문 A Pre-Revolutionary Sonderweg 2002
[183] 논문 Saxony: Rétablissement and Enlightened Absolutism 2002
[184] 서적 The Literature of Weimar Classicism 2005
[185] 서적 Music at German Courts, 1715–1760: Changing Artistic Priorities 2011
[186] 서적 Kant: A Biography 2001
[187] 웹사이트 Immanuel Kan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Enlightenment?" https://web.archive.[...] Internet Modern History Sourcebook 2019-03-26
[188] 서적 The Society of the Enlightenment: The Rise of the Middle Class and Enlightenment Culture in Germany 1992
[189] 서적 German History, 1770–1866 1993
[190] 웹사이트 Napoleon's satellite kingdoms https://archive.org/[...] New York, Free Press 1966
[191] 논문 France Against Prussia: The Jena Campaign of 1806 1966
[19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German romantic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93] 웹사이트 The French Revolution and German industrialization: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 rewrites history https://www.econstor[...] Leibniz Institute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ransition Economies 2019-04-13
[194] 서적 Banking in the Early Stages of Industrialization: A Study in Comparative Economic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195] 서적 The Great Train Race: Railways and the Franco-German Rivalry, 1815–1914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
[196] 서적 The Social Foundations of German Unification, 1858–1871: Ideas and Institutions 1969
[197] 서적 The history makers: The press of Europe from its beginnings through 1965 LSU Press 1966
[198] 서적 The Grimm brothers and the Germanic past John Benjamins Publishing 1990
[199] 논문 Confessional policy and the limits of state action: Frederick William III and the Prussian Church Union 1817–40 1996
[200] 웹사이트 The Course of German History https://archive.org/[...] 2001
[201] 논문 What Killed August von Kotzebue? The Temptations of Virtue and the Political Theology of German Nationalism, 1789–1819 https://archive.org/[...] 2000-12
[202] 서적 Refugees of Revolution: The German Forty-Eighters in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52
[203] 서적 Bismarck: A Political History Routledge 2014
[204] 서적 Germany, 1866–1945 1978
[205] 논문 Review 2012
[206] 서적 The War for the Rhine Frontier, 1870: Its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lackwood 1872
[20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ar between Germany and France https://babel.hathit[...] HathiTrust Digital Library 2019-03-23
[208] 웹사이트 Bismarck's Domestic Polices 1871 -1890 http://www.historyho[...] History Home 2013-11-11
[209] 논문 Endogenous Formation of Free Trade Agreements: Evidence from the Zollverein's Impact on Market Integration 2014-12
[210] 논문 'Gateway to the World': Hamburg and the Global German Empire, 1881-1914 2018
[211] 뉴스 A fistful of Fredericks – He considers the "invention of tradition" in Prussia, and the importance of memorials and ceremonies of remembrance in shaping patriotic identity. https://www.theguard[...] 2019-03-23
[212] 서적 Nationalizing Empires 2015
[213] 웹사이트 A German Voice of Opposition to Germanization (1914) http://germanhistory[...]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19-05-18
[214] 웹사이트 Germanization Policy: Speech by Ludwik Jazdzewski in a Session of the Prussian House of Representatives (January 15, 1901) http://germanhistory[...]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19-05-18
[215] 저널 Higher Civil Servants in Germany, 1890–1900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Ltd. 1967
[216] 웹사이트 Hans Ulrich Wehler-The German Empire 1871-1918-Berg (1985) https://www.scribd.c[...] Scribd 2019-03-31
[217] 서적 Gender and the Modern Research University: The Admission of Women to German Higher Education, 1865–1914 https://books.google[...] Stanford U.P. 2003
[218] 서적 Trade Unionism in Germany from Bismarck to Hitler, 1869–1933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82
[219] 간행물 The Origin of the Welfare State in England and Germany, 1850–1914: Social Policies Compared 2007
[220] 간행물 Origins of the Authoritarian Welfare State in Prussia, 1815–1870 1995
[221] 저널 Rules of the Ruhr: Leadership and Authority in German Big Business Before 191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03-01
[222] 저널 The Protectionist Interests of the German Iron and Steel Industry, 1873–18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03-01
[223] 저널 Kulturkampf: The Relationship of Church and State and the Failure of German Political Reform 1981
[224] 서적 Imperial Germany
[225] 저널 The myth of the Puttkamer purge and the reality of the Kulturkampf: Some reflections on the historiography of Imperial Germany 1982
[226]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8: 1814–1914
[227] 저널 1957
[228] 서적 Fighting for the Soul of Germany: The Catholic Struggle for Inclusion after Unification Harvard U.P. 2012
[229] 저널 The Political Alignment of the Centre Party in Wilhelmine Germany: A Study of the Party's Emergence in Nineteenth-Century Württemberg https://dash.harvard[...] 1975-12-01
[230] 서적 The failure of Bismarck's Kulturkampf: Catholicism and state power in imperial Germany, 1871–1887 1998
[231] 에피소드 The First World War and Its Legacy https://www.wondrium[...] The Great Courses 2001
[232] 간행물 Dangerous alliances: proponents of peace, weapons of war 2004
[233] 서적 Popularizing the Nation: Audience, Representation, and the Production of Identity in "Die Gartenlaube", 1853–1900 1998
[234] 서적 Die Hohenzollern. Band 2 – Dynastie im säkularen Wandel Kohlhammer Verlag 2003
[235] 간행물 Preussens Herrscher. Von den ersten Hohenzollern bis Wilhelm II. C. H. Beck 2000
[236] 서적 Kaiser Wilhelm II 2000
[237] 서적 Wilhelm II: the Kaiser's personal monarchy, 1888–1900 2004
[238] 서적 2003
[239] 저널 Friedrich von Holstein 1966-09-01
[240] 간행물 History of Germany from the Medieval Empire to the Present 1988
[241] 저널 Admiral Tirpitz, Secretary of State for the Navy, 1897–1916 1963-07-01
[242] 서적 he Influence of History on Mahan: Proceedings of a Conference Marking the Centenary of Alfred Thayer Mahan's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https://www.academia[...] Academia 2019-04-04
[243] 서적 Luxury Fleet: The Imperial German Navy 1888–1918 1980
[244] 서적 The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https://archive.org/[...] Archive Org 2019-04-04
[245] 서적 Theodore Roosevelt and the International Rivalries 1970
[246] 서적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3
[247] 서적 German Yearbook on Business History 1985 Springer 1986
[248] 웹사이트 Industrial Growth (1870–1914) http://germanhistory[...] German History Docs 2019-04-04
[249] 학술지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Germany 1850–1914 1981-03-01
[250] 웹사이트 Internal migration before and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case of France and Germany https://d-nb.info/10[...] EGO 2019-04-04
[251] 인용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Chemical Indust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1
[252] 인용 The chemical industry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1958
[253] 학술지 Tariffs, Cartels, Technology, and Growth in the German Steel Industry, 1879 to 1914 https://archive.org/[...] 1980-06-01
[254] 서적 Krupp: A History of the Legendary German Fir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255] 학술지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Iron and Steel, 1850–1913 https://archive.org/[...] 1979-12-01
[256] 학술지 Trade Associations and Economic Power: Interest Group Development in the German Iron and Steel and Machine Building Industries, 1900–1933 1975-12-01
[257] 서적 Germany in the Pacific and Far East, 1870–1914 1977
[258] 서적 The Berlin-Baghdad express: the Ottoman Empire and Germany's bid for world power, 1898–1918 Penguin 2011
[259] 서적 The Rulers of German Africa, 1884–1914 1977
[260] 학술지 The German-Herero war of 1904: revisionism of genocide or imaginary historiography? 1993
[261] 서적 Germany's Genocide of the Herero: Kaiser Wilhelm II, His General, His Settlers, His Soldier 2011
[262] 학술지 Situating the Herero Genocide and the Holocaust among European Colonial Genocides http://www.ceeol.com[...] 2014
[263] 서적 Performing Nordic Heritage: Everyday Practices and Institutional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13
[264] 서적 The Colonial Contest for the Nigerian Region, 1884-1900: A History of the German Participation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2
[265] 서적 "Schwarz-weiss-rot über Ostafrika !": deutsche Kolonialpläne und afrikanische Realität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997
[266] 서적 Reflections from the Margins: Complexities, Transitions and Developmental Challenges: The Case of the East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African Sun Media 2021-10-11
[267] 서적 Koloniale Entwicklung und Ausbeutung: Wirtschaftsu. Sozialgeschichte Deutsch-Ostafrikas 1885-1914 https://books.google[...] Duncker u. Humblot 1970
[268] 서적 The end of British isolation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1927
[269] 서적 Militarism in a Global Age: Naval Ambitions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before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2-03-15
[270] 서적 The Rise of the Anglo-German Antagonism, 1860–1914 https://archive.org/[...] Allen & Unwin 1980
[271] 서적 Capital Cities at War: Paris, London, Berlin, 1914–1919 1999
[272] 서적 The First World War 2004
[273]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4th ed McFarland 2017
[274] 서적 World War One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
[275] 서적 The Lights that Failed: European International History, 1919–1933 https://books.google[...] Oxford U.P. 2005
[276] 서적 The First World War: Germany and Austria–Hungary 1914–1918 1996
[277] 서적 The defeat of imperial Germany, 1917–1918 https://archive.org/[...] Hachette Books 1994
[278] 학술지 The Political and Social Foundations of Germany's Economic Mobilization, 1914–1916 http://afs.sagepub.c[...] 1976
[279] 서적 Imperial Germany and the Great War, 1914–1918 2004
[280] 서적 The Rise of the West 1991
[281] 웹사이트 Vom Kaiserreich zur Republik 1918/19 https://www.bpb.de/t[...] 2011-12-23
[282] 웹사이트 Mutiny of German Sailors in Kiel https://encyclopedia[...]
[283] 웹사이트 The Second World War. Interbellum 1918–1936 https://www.thesecon[...]
[284] 저널 Weimarer Republik 2011-11-01
[285] 위키소스 Treaty of Versailles/Part IV#Article 118
[286] 웹사이트 Approximate German territorial losses, and related loss of resources, following the Treaty of Versailles, June 28, 1919 https://www.statista[...] 2022-06-21
[287] 위키소스 Treaty of Versailles/Part III#Section III. Left Bank of the Rhine
[288] 웹사이트 The Treaty of Versailles https://www.britanni[...]
[289] 위키소스 Treaty of Versailles/Part V
[290] 위키소스 Treaty of Versailles/Part VIII#Section I. General Provisions
[291] 웹사이트 Philipp Scheidemann gegen die Annahme des Versailler Vertrages (12. Mai 1919) https://germanhistor[...]
[292] 웹사이트 The Weimar Constitution https://www.britanni[...] 2024-12-02
[293] 위키소스 Weimar_constitution#Chapter_II:_Fundamental_Rights_and_Duties_of_Germans
[294] 웹사이트 World War I: Aftermath – The Undermining of Democracy in Germany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95] 웹사이트 Kapp Putsch https://www.britanni[...]
[296] 웹사이트 Der Märzaufstand 1920 https://www.dhm.de/l[...] 2002-01-22
[297] 웹사이트 Das Deutsche Reich: Reichstagswahl 1920/22 http://www.gonschior[...]
[298] 웹사이트 Organisation Consul (O.C.), 1920–1922 https://www.historis[...] 2010-02-08
[299] 웹사이트 Treaty of Rapallo https://www.britanni[...] 2023-04-09
[300] 웹사이트 Pact of Locarno https://www.britanni[...] 2022-11-24
[301] 웹사이트 War reparations and Weimar Germany https://alphahistory[...] 2019-09-24
[302] 웹사이트 The Ruhr Occupation https://alphahistory[...] 2019-09-25
[303] 웹사이트 Allied politics and reparations https://www.britanni[...] 2024-09-06
[304] 웹사이트 Hyperinflation Weimar https://americangerm[...] 2023-12-07
[305] 웹사이트 The recovery of the Republic, 1924–29 https://www.bbc.co.u[...]
[306] 웹사이트 Inauguration of Paul von Hindenburg as President of Germany https://encyclopedia[...]
[307] 저널 Unemployment in Interwar Germany: An Analysis of the Labor Market, 1927–1936 https://www.proquest[...] 2006-09-01
[308] 웹사이트 Reichstagswahl 1930 https://www.gonschio[...]
[309] 서적 Who Voted for Hitler? {{Google books|dcX_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0] 웹사이트 Das Deutsche Reich. Die Reichspräsidenten 1919–1934 http://www.gonschior[...]
[311] 웹사이트 Nobel Priz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312] 저널 Two Prophets of the Twentieth Century: Spengler and Toynbee 2024-11-01
[31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Nazi Germany https://archive.org/[...] 2007
[314] 서적 Forced Migration and Scientific Change: Emigré German-Speaking Scientists and Scholars after 1933 1996
[315] 서적 The "Hitler Myth": Image and Reality in the Third Reich 2001
[316] 논문 Was Hitler a Weak Dictator? 2002
[317] 논문 Who voted for the Nazis? (electoral history of the 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 Party) https://archive.org/[...] 1998-10
[318] 서적 Reigns of Terror McGill-Queen's Press — MQUP 2003
[319] 서적 Nazi Germany and the Jews 1998
[320] 서적 Interpreting the 20th Century: The Struggle Over Democracy, The Holocaust https://web.archive.[...] 2014-06-10
[321] 웹사이트 Holocaust Facts https://web.archive.[...] 2014-06-10
[322] 서적 Hitler: a study in tyranny https://archive.org/[...] Harper Torchbooks 1991
[323] 서적 Joseph Goebbels: Life and Death 2009
[324]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Volume 1 H W Fowler 2007
[325] 서적 Berlin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01
[326] 웹사이트 Allies end occupation of West Germany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19-03-04
[327] 서적 Demilitarizat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3
[328] 서적 The Politics Today Companion to West European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29] 논문 Postwar Population Transfers in Europe: A Survey https://archive.org/[...] 1953-04
[330] 서적 Germany 1945: From War to Peace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Publishers 2009
[331] 웹사이트 Die Arbeit der Suchdienste – 6o Jahre nach dem Zweiten Weltkrieg: Narben bleiben – p.13 https://web.archive.[...] Volksbund Deutsche Kriegsgräberfürsorge e.V. 2019-03-04
[332] 웹사이트 Die Vertreibung der Deutschen aus den Gebieten jenseits von Oder und Neiße http://www.bpb.de/ge[...]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2019-03-04
[333] 논문 Historical Memory and the expulsion of ethnic Germans in Europe, 1944 http://uhra.herts.ac[...] 2009
[334] 서적 The death and life of Germany: an account of the American occupation
[335] 서적 Does Conquest Pay?: The Exploitation of Occupied Industrial Societies p. 147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08-23
[336] 기타
[337]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since 1815 https://archive.org/[...] 2003
[338] 논문 The Future of the German Economy https://archive.org/[...] 1946-05
[339] 서적 The Reconstruction of Western Europe: 1945–51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340] 서적 Germany and the Germans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87
[341] 논문 Morgenthau's Plan for Industrial Disarmament in Germany 1961-06
[342] 잡지 Conferences: Pas de Pagaille! https://web.archive.[...] 1947-07-28
[343] 기타
[344] 논문 Art is democracy and democracy is art: Culture, propaganda, and the Neue Zeitung in Germany https://archive.org/[...] 1999
[345] 기타 The Firm: The Inside Story of the Stasi 2010
[346] 서적 The People's State: East German Society from Hitler to Honecker 2008
[347] 논문 East Germany in 1956: Walter Ulbricht's Tenacity in the Face of Opposition 2006-09
[348] 기타 Germany: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2006
[349] 기타 The Berlin Wall: A World Divided, 1961–1989 2008
[350] 서적 Socialist modern: East German everyday culture and politic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1
[351] 서적 Civil Society and Dictatorship in Modern German History https://books.google[...] UPNE 2010
[352] 간행물 The Christian Social Union or CSU is the Bavaria branch of the CDU. It has always operat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CDU, and the CDU/CSU is usually treated as a single party in national affairs.
[353] 서적 Germany, 1945–1990: A Parallel History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4
[354] 서적 Germany, 1945–1990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4
[355] 학술지 West German Experience with Industrial Democracy 1977-05
[356]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the Era of the Cold War, 1945–19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57] 학술지 The Consequences of the Currency Reform in Western Germany https://archive.org/[...] 1950
[358] 서적 Airbridge to Berlin: The Berlin Crisis of 1948, Its Origins and Aftermath http://www.trumanlib[...] Presidio Press 2011-02-10
[359] 서적 Kennedy in Berl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60] 서적 Konrad Adenauer: The Father of the New Germany 2000
[361] 서적 The Adenauer era 1975
[362] 학술지 Review https://archive.org/[...] 2005
[363] 학술지 The Evolving German Economy: Unification, the Social Market, European and Global Integration
[364] 서적 Ludwig Erhard: a biography 2004
[365] 간행물 1957: Ludwig Erhard's Annus Terribilis 2004
[366] 서적 The two Germanies since 1945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7
[367] 학술지 Politics, Culture, and Economics: Reassessing the West German Guest Worker Agreement with Yugoslavia 2009-10
[368] 학술지 The Guests Who Stayed – The Debate on "Foreigners Policy" in the German Federal Republic https://archive.org/[...] 1985
[369] 학술지 Living Islam in the Diaspora: Between Turkey and Germany 2003
[370] 서적 Cosmopolitan Anxieties: Turkish Challenges to Citizenship and Belonging in Germany Duke University Press 2008
[371] 서적 Ostpolitik, 1969–1974: European and Global Responses 2009
[372] 서적 History of Germany, 1918–2000: the divided nation https://archive.org/[...] 2002
[373] 서적 Can Germany be saved?: the malaise of the world's first welfare state https://archive.org/[...] MIT Press 2007
[374] 서적 Germany at the polls: the Bundestag elections of the 1980s 1990
[375] 서적 Men and Power: A Political Retrospective 1990
[376] 서적 Kohl: Genius of the Present: A Biography of Helmut Kohl 1996
[377] 뉴스 SCHROEDER DEFEATS KOHL IN HISTORIC GERMAN VOTE https://www.washingt[...]
[378] 인터뷰 Interview, Austrian TV – ORF "Report" 2019-06-25
[379] 뉴스 DDR-Massenflucht: Ein Picknick hebt die Welt aus den Angeln 2018-08-16
[380] 뉴스 Paneuropäisches Picknick – Mit dem Picknickkorb in die Freiheit 2010-05-17
[381] 서적 Deutschland einig Vaterland – Die Geschichte der Wiedervereinigung 2009
[382] 서적 Uniting Germany: Documents and Debates, 1944–1993 1994
[383] 서적 Joschka Fischer and the making of the Berlin Republic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8
[384] 뉴스 Germany agrees on 50-billion-euro stimulus plan http://www.france24.[...] 2009-01-06
[385] 웹사이트 Government declaration by Angela Merkel https://www.tagessch[...] ARD Tagesschau 2014-01-29
[386] 서적 Germany After the Grand Coalition: Governance and Politics in a Turbulent Environment Palgrave Macmillan 2010
[387] 웹사이트 Determination of the euro conversion rates https://www.ecb.euro[...] European Central Bank 1998-12-31
[388] 웹사이트 The Launch of the Euro https://www.federalr[...] Federal Reserve 2019-03-04
[389] 뉴스 Germany to close all of its nuclear plants by 2022 https://www.washingt[...] 2011-05-30
[390] 뉴스 Migrant crisis: Migration to Europe explained in seven charts https://www.bbc.com/[...] 2016-01-28
[391] 뉴스 Chancellor Running Out of Time on Refugee Issue http://www.spiegel.d[...] 2016-01-19
[392] 웹사이트 Merkel Critic Says Chancellor's Refugee Policy Is a 'Time Bomb' https://www.bloomber[...] 2016-08-09
[393] 뉴스 Far-right AfD enters German parliament: What it means for German politics https://www.dw.com/e[...] 2017-09-24
[394] 웹사이트 Germany COVID – Coronavirus Statistics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395] 뉴스 Germany elections: Centre-left claim narrow win over Merkel's party https://www.bbc.com/[...] 2021-09-27
[396] 뉴스 'New era': Scholz becomes Germany's new chancellor as Merkel bows out https://www.euronews[...] 2021-12-08
[397] 뉴스 Frank-Walter Steinmeier elected to second term as German president https://www.dw.com/e[...] 2022-02-13
[398] 웹사이트 The ruins of Ostpolitik https://www.eurozine[...] 2022-02-23
[399] 뉴스 Germany to increase defence spending in response to 'Putin's war' - Scholz https://www.reuters.[...] 2022-02-27
[400] 웹사이트 Ukrainian refugees by country 2023 https://www.statista[...]
[401] 웹사이트 Economic Key Facts Germany https://kpmg.com/de/[...] 2023-12-05
[402] 논문 Upper Palaeolithic genomes reveal deep roots of modern Eurasians http://www.nature.co[...] 2015
[403] 웹사이트 Neolithic Eupedia1 http://www.eupedia.c[...]
[404] 웹사이트 Eupedia2 http://www.eupedia.c[...]
[405] 웹사이트 Eupedia http://www.eupedia.c[...]
[406] 웹사이트 ヒトラーはなぜソ連と戦争を始めてしまったのか? https://books.j-cast[...] 2020-12-27
[407] 간행물 ドイツと三国軍事同盟 http://www.nids.go.j[...] 2010
[408] 웹사이트 第5回 ヒトラーが最後の日々を過ごした地下壕 ドイツ・ベルリン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20-12-27
[409] 웹사이트 ドイツ連邦議会、同性婚の合法化を可決 https://www.bbc.com/[...] BBC 2020-12-27
[410] 웹사이트 連邦議会選挙は社会民主党が第1党に躍進、連立協議に向け始動 https://www.jetro.go[...] 2024-04-12
[411] 서적 (정보 부족으로 제목을 추출할 수 없습니다.) (정보 부족으로 출판사를 추출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